PART 1 교육 행정학의 기초
CHAPTER 1 ┃ 교육행정의 이해(신현석 5
1. 교육행정의 개념 7
(1 교육행정의 기존 개념 7
(2 교육행정 재개념화의 필요성 8
(3 학교중심의 교육행정 10
2. 교육행정과 교육행정학 13
3. 교육행정의 성격 16
(1 개념 정의: 법규해석적 접근과 행정행위적 접근 16
(2 지식 구성: 규범적 진술과 사실적 진술 17
(3 현상 인식: 과학성과 예술성 19
(4 중심 활동: 교육중심적과 행정중심적 20
4. 교육행정의 이론·연구·실제 21
CHAPTER 2 ┃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가신현 27
1. 고전이론 29
(1 과학적 관리론 29
(2 행정관리론 32
(3 관료제론 34
2. 인간관계론 35
(1 Follet의 조직심리연구 36
(2 호손 실험연구 37
(3 인간관계론과 교육행정 38
3. 행동과학론 39
(1 교육행정 이론화 운동 39
(2 사회체제이론 41
4. 대안적 접근 44
(1 해석적 관점 45
(2 비판적 관점 46
(3 포스트모더니즘 46
PART 2 교육조직론
CHAPTER 3 ┃ 학교 조직의 성격(임수진 53
1. 조직 이해의 기초 55
2. 조직의 구조 56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56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58
3. 조직 유형론 60
(1 Parsons의 유형론: 조직의 기능에 따른 분류 61
(2 Etzioni의 유형론: 조직의 권력 행사에 따른 분류 61
(3 Blau와 Scott의 유형론: 조직의 수혜자가 누구인가에 따른 분류 63
(4 Minzberg의 유형론 64
(5 Carlson의 유형론: 고객 선발에 의한 분류 65
4. 학교 조직의 특성 66
(1 관료제의 특징과 학교 조직 66
(2 다양한 이미지로서의 학교 조직 72
CHAPTER 4 ┃ 교원의 동기부여(정주영 81
1. 동기의 개념 및 중요성 83
2. 동기의 내용이론 84
(1 M
본서가 ‘학교중심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된 지 벌써 10년이 되었다. 그리고 개정판이 나온 지도 6년이 거의 지났다. 그동안 정권이 바뀌어 중앙 및 지방교육행정기관들의 직제와 제도가 바뀌었고,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과 관심사가 달라졌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행정은 정부의 성격과 정책 기조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권이 교체되면 많은 변동을 초래하여 교재의 개정판 작업이 불가피하다. 이번 개정 3판 작업은 이러한 필요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에 주안점을 두고 공동 필진들이 협력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정권의 변화에 따라 정부 조직이나 인사제도의 변화가 있는 챕터는 현재에 맞게 수정·보완한다.
둘째, 사례 가운데 시간의 경과로 현재 상황에 맞지 않는 경우 최근의 적절한 다른 사례를 찾아 바꾸도록 한다.
셋째, 기타 내용이 구태의연해서 현재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이 필요한 경우 챕터 필자가 판단하여 수정·보완한다.
‘학교중심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은 우리나라의 교육행정이 법규해석적 관점의 하향식 교육행정 전달체계에서 교육의 일선 현장인 학교가 중심이 되어 행정이 현장 교육의 조장 및 지원 기능을 주로 하고, 교육행정의 중심이 학교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학교는 교육행정기관이자 학생 교육을 실천하는 교육기관이라는 이중성을 배태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단위학교의 조직적 특성은 교육행정이 교육(instruction과 행정(administration이 결합된 복수의 이미지로 표상되고, 이완결합체제(loosely coupled organization로 불리기도 한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사실적으로 규명하고 밝히는 과학적인 탐구와 당위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과 가치를 논증하는 규범적인 탐구가 동시에 필요하다는 논점은 학교의 기능이 교육과 행정의 이중적 결합이라는 조직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교육행정의 이론 생성이 더딘 이유는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