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5
서론 ─·17
1. 진언(眞言, 다라니(陀羅尼, 주(呪·17
1 진언(眞言, 만뜨라, mantra 17
2 다라니 19
3 주(明呪, vidya mantra 20
2. 태장만다라의 의미·20
3. 삼밀가지(三密加持란·21
4. 만다라를 구성하는 존상(尊像의 형(形·22
1 여래형(如來形의 특징 22
2 보살형(菩薩形의 특징 23
3 명왕형(明王形의 특징 24
4 천부형(天部形의 특징 24
5. 금강저(金剛杵의 종류·25
6. 태장만다라(胎藏曼茶羅의 의미와 구조·26
1. 중대팔엽원 ─ 31
1. 대일여래
2. 보당여래
3. 개부화왕여래
4. 무량수여래
5. 천고뇌음여래
6. 보현보살
7. 문수보살
8. 관자재보살
9. 미륵보살
2. 변지원 ─ 63
10. 일체여래지인
11. 우루빈나가섭
12. 가야가섭
13. 불안불모
14. 대용맹보살
15. 칠구지불모
16. 대안락불공진실보살
3. 연화부원(관음원 ─ 83
17. 성관자재보살
18. 연화부발생보살
19. 대세지보살
20. 비구지보살
21. 다라보살
22. 다라사자
23. 만공양
24. 대명백신보살
25. 연화부사자
26. 마두관음보살
27. 대수구보살
28, 29, 30. 연화부사자
31. 솔도파대길상보살
32. 야수다라보살
33. 봉교사자
34. 연화부사자
35. 여의륜보살
36. 연화군다리
37. 보공양
38. 대길상대명보살
39. 소향보살
40. 대길상명보살
41. 연화부사자
42. 적유명보살
43. 피엽의보살
44. 백신관자재보살
45. 풍재보살
46. 연화부사자
47. 불공견삭관음보살
48. 연화부사자
49. 수길상보살
50. 도향보살
51. 대길상변보살
52. 연화부사자
53. 백처존보살
4. 금강수원(살타원 ─ 149
54. 금강살타
55. 발생금강부보살
56. 금강구녀보살
57. 금강수지금강보살
58. 지금강
만다라는 도상을 통한 밀교 수행의 한 방편이다. 이 책은 그중에서도 태장만다라에 등장하는 여래, 보살, 명왕, 천신, 신중 등 412분의 존상과 설명, 진언 및 실담자 표기, 종자와 수인, 삼매야형을 직접 그려 모신 역작이다. 이는 실로 저자가 실담자를 연구하고 불화도 직접 그리는 작가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1.
만다라는 어원상으로 보면 ‘본질을 갖추는 것’ 또는 ‘제법(諸法을 구족(具足하는 것’으로, 이는 부처님의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즉 ‘가장 높은 깨달음’의 본질을 얻는다는 뜻이다.
이런 어원처럼, 만다라는 밀교에서 깨달음을 얻은 부처의 내면세계 혹은 부처의 법신(法身인 진리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수행자가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데 사용하는 수행 방편으로, 특히 티베트와 일본, 중국에서 크게 성행했으며, 우리나라도 후불탱화로 전해져 오고 있다.
밀교의 대표적 경전은 《 대일경》 과 《 금강정경》 인데, 태장만다라(胎藏曼茶羅는 《대일경》 을 근거로 하고 금강계만다라는 《금강정경》 을 근거로 한다. 이 둘을 양부만다라 혹은 양계만다라라고 하며, 태장만다라는 이(理의 세계를 금강계만다라의 지(智의 세계를 나타낸다고 한다.
2.
태장만다라는 중대팔엽원(中臺八葉院을 중심으로 12대원이 순차적으로 중심에서 사방팔방의 바깥쪽으로 퍼져 나가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대일경》 에서 설하는 이론에 따른 것이다. 《대일경》 은 총 36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장은 주로 교리를 설하고 있고, 제2장부터는 만다라의 건립 방법을 비롯하여 수행 방법 등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대일경(大日經》 은 《대비로자나경》 이라고도 하며,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의 준말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일여래, 즉 비로자나불이 주인공인 경이다. 따라서 태장만다라의 중심에는 대일여래(비로자나불가 자리하고 있다.
대일여래는 근본불(法身로서, 태양의 빛과 같은 지혜의 빛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자비가 무량하게 펼쳐지는 것을 나타내며, 중생의 생명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