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논어』 읽기를 따라
우리말로 옮긴 한국의 『논어』
『논어』로 『논어』를 읽고, 경전에서 근거를 구한다는 원칙을 지킨 후
“이치”라는 그물망을 펼쳐 고금주를 해체하고 종합한
혁신적인 『논어』
“이것이 한국의 『논어』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
다산이 『논어』를 번역했다면 어땠을까?
『다산 논어』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1813년 완성한 『논어고금주』에 바탕하여 『논어』를 번역, 해설한 것이다. 『논어고금주』는 『논어』에 대한 다산의 주석서로 『논어』를 공자의 원의에 맞게 읽는다는 기획으로 집필되었다. 그 이름이 『논어고금주』인 것은 다산이 이 주석서에서 『논어』의 고주와 금주를 망라하여 좋은 견해는 받아들이고 옳지 않은 견해는 비판하면서 『논어』의 500여 장을 이렇게 읽어야 한다고 제안했기 때문이다.
이때 『논어』의 고주에는 우선 하안(195~249이 당시 전해지던 여러 경학가의 주석을 모아 편집한 『논어집해』가 있고, 또 『논어집해』를 부연 설명하는 두 책, 황간(488~545의 『논어집해의소』(이제부터 『논어의소』와 형병(932~1010의 『논어정의』가 있다. 주로 진晉의 논어학에 기초해 편찬한 『논어의소』는 남송 이후 중국에서 사라졌다가 일본에서 역수입되었고, 포정박(1729~1814이 자신이 수집한 장서를 모아 편찬한 『지부족재총서』에 수록함으로써 다시 논어학의 전면에 자리하게 되었다. 『논어의소』가 사라진 동안 『논어집해』와 『논어정의』가 고주를 대표했고, 이 두 책은 합본되어 『논어주소』로 불렸다. 그런데 황간과 형병의 주석서는 『논어집해』를 보완하는 것이므로 결국 『논어』의 고주는 『논어집해』가 대표한다.
『논어』의 역대 주석을 자세히 곱씹어 비판
고주에는 이외에도 정현(127~200의 주해를 모아놓은 『논어정씨주』가 있고, 육덕명(556~627의 『논어음의』에 수록된 짤막하지만 중요한 정보들도 있고, 다산이 종종 검토하는 한유(768~824의 『논어필해』도 있다. 그렇지만 이 고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