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치워진 빈자리를
힘겹게 응시하는 시선
이것은 누구나 한 번쯤 들었던 이야기다. 뉴스나 기사에서 보거나 읽었을 이야기일 테니까. 매일매일 반복되는 이야기니까. 김 군, 이 군, 박 씨, 최 씨, 정 아무개, 강 아무개 … 살기 위해 일하다가 죽어간 이들의 이야기. 통계상으로 어제도 그리고 오늘도 여섯 명의 노동자가 일터에서 죽었다는 이야기. 그러니까 내일도 누군가는 일터에서 떨어지고, 깔리고, 끼이고, 잘리고, 빠지고, 부딪혀 죽을 거라는 이야기.
하지만 그 이야기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부를 들었던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살아 있던 한 사람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죽었는지, 죽기 전에 그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그가 죽은 후에 남겨진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사람이 죽었는데 왜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고 아무도 처벌을 받지 않는지. 결코 끝나지 않을 길고 긴 이야기에서 우리가 들은 건 기껏해야 한 줌에 불과하다. 몇몇의 이름과 숫자 몇 개, 닳고 닳은 구호들, 겨우 손에 쥔 단어와 문장들마저도 점점 희미해지고 잊혀진다. 어제 죽은 자는 오늘을 말할 수 없고,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은 내일을 위해 그 이야기를 어제로 묻어둔다. “이미 그렇게 된 걸 어떡하겠어, 산 사람은 살아야지.”
그러니까 윤성희가 하는 일이란 오늘의 빈자리를 응시하는 것이다. 내일을 위해 어제의 죽음을 치우고, 그 흔적마저 지워버린 현재의 공백들. 그곳의 텅 빈 풍경은 어제도 여섯 명이 죽었고 내일도 여섯 명이 죽을 테지만,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변함없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얼굴처럼 무심할 뿐이다. 어제의 죽음과 상관없이 내일의 삶을 준비하는 그 빈자리를 바라보며 윤성희는 의심하며 묻는다. 이 죽음들을 ‘정말 우리의 현재와 분리할 수 있는 것일까?’
그러니까 윤성희가 하는 일이란 우리의 현재와 연결된 죽음들을 다시 응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사진과 글은 일터의 빈자리마다 묻혀 있는 노동자의 이야기를 다시 끄집어낸다. 그 과정에서 좀처럼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