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장 사람의 죽음과 뇌의 죽음
할아버지는 주무시는 거야?
죽음이라는 현상은 없다?
개체의 죽음과 장기의 죽음, 세포의 죽음
살아 있는 신체에 죽은 뇌
뇌사는 반드시 개체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뇌사란 뇌 전체의 죽음
뇌사에 대한 오해
2장 뇌사는 어떻게 해서 발생하는가?
1차성 뇌장해와 아치성 장해
뇌사로 가는 과정
뇌사로의 진행을 저지할 수 있는가?
뇌세포는 자기융해를 일으킨다
3장 뇌사 상태의 뇌는 어떻게 되는가?
자기융해를 하는 뇌
뇌의 단백질이 변성한다
뇌사 상태에서도 척수는 살아 있다
4장 지금 왜 뇌사가 문제인가?
심장 이식의 충격
뇌사 상태에 대한 관심
장기 이식과 뇌사
뇌사의 판정법을 둘러싸고
5장 뇌사는 어느 정도로 발생하는가?
전체 사망자는 1% 이하?
뇌혈관 장해에서 높은 발생률
50대에 많고, 남자에게 많다
조사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 질환
뇌사로부터 심정지까지의 기간
전향성 조사와 후향성 조사
6장 뇌사를 어떻게 판정하는가?
왜 판정 기준이 필요한가?
이상적인 판정 기준의 조건이란?
뇌사 판정의 대상
아이와 약물 중독은 판정 대상에서 제외
자발 호흡이 있는가?(생명 징후
뇌가 죽으면 반응하지 않는다(신경 증상
빼놓을 수 없는 뇌파 검사(보조 검사
기준 이외의 실마리―그 밖의 보조 검사
주의에 주의를 거듭하라
판정자는 두 사람 이상의 의사
7장 나라에 따라 다른 판정기준의 차이
세계적인 통일 기준은 없다
죽음의 개념에까지 들어선 미국의 판정 기준
장기 이식 때는 재확인을―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