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서장
제1부
제1장 1880년대 수집된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의 이해-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한역 서양 과학기술서의 소장 현황과 수집 과정
3. 한역 서양과학기술서 분류와 내용
4. 맺음말
제2장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의 도입과 활용 1-?한성순보?와 ?한성주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한성순보? 및 ?한성주보?에 나타난 서구 문물 인식
3. ?한성순보?, ?한성주보?로 본 조선 정부의 근대 문물 도입 노력
4. 결론
제3장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의 도입과 활용 2-지석영의 ?신학신설?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지석영과 ?신학신설?
3. 새로운 보신지학:근대 서양 의학과 전통 한의학의 습합
4. 결론
제4장 조선의 서양 과학 학습-전통적 격치에서 근대 과학으로의 전환 모색-
1. 머리말:격치와 근대 과학의 자연관
2. 서양 근대 과학기술의 발견과 수용
3. ‘격치’ 전환 모색과 ‘과학’:교과서
4. 결론
제5장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적에서의 탈피-애국계몽운동기 근대 과학의 이해와 활용-
1. 머리말
2. 계몽운동기의 근대 과학 수용:격치 그리고 신학문
3. 일본에의한또 다른 혼용:강화된 ‘실업’으로 재구성된 과학
4. 결론
제2부
제1장 고종 시대 수집된 한역 서양 과학기술서
1. 고종 시대 수집된 한역 서양 과학기술서 현황
2. 한역 서양 과학기술서의 원저자, 원제, 소장 상황
제2장 ?한성순보? ?한성주보? 근대 과학기술 관련 기사
1. 화학
2. 지지(천문, 방제, 자연
3. 의학
4. 무기
5. 도량형
6. 교통 통신
7. 광업
8. 농업, 잠업, 목축업 등등
9. 교육 및 개화, 부국론
제3장 대한제국기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의 이용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과학기술 관련 기사
2. ?중서문견록? 목차
3. ?격치
조선은 개항을 전후해 전통 시대에 존재했던 자연 혹은 기술과 관련한 지식체계와는 전혀 다른 규범과 사유 체계, 연구 목적 및 방법, 언어, 우주관, 자연관, 세분화된 분야의 이론 등으로 구성된 근대 서양 과학기술을 발견했다. 음양오행과 이들 사이의 상생이나 상극과 같은 관계로 자연 현상을 정성적으로 설명하는 동양 전통의 방식과는 달리 서양 과학은 분석적이었고 기계적이었으며 실험적이었다.
서양의 새로운 과학은 운동의 원인보다는 운동이 일어나는 과정에 주목했고, 이 과정에는 신도 개입할 수 없었다. 오로지 자연에서 운동하는 물질만이 상호 작용하면서 일어나는 기계적인 운동만으로 변화와 생성이 진행되었다. 이 운동들은 또 수많은 운동으로 잘게 분해되었고, 각각의 과정을 수학이라는 감정이 개입되지 않은 언어로 설명할 수 있었다. 물론 서양도 이 과정이 순식간에 일어났던 것은 아니고, 200년에 걸쳐 일어났다. 많은 고대로부터의 사유 방식이 해체되었고, 기독교적 자연관이 분해되고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자연관이 재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이론 체계 역시 구성되었으며 근대 과학혁명 이후 과학은 풍요로움을 인류에게 선사하는 산업혁명의 바탕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과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인 공학이라는 분야가 형성되기도 했다. 자연을 통제하는 힘을 가지게 된 과학과 공학은 엄청난 화력을 앞세운 제국의 확장 정책에 의해 조선에도 전달되었다.
고종의 친정(親政 이래 조선 정부는 개항을 추진하면서 서양 과학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했고 이것이 미치는 영향은 지대했다. 서양의 풍요로움과 강력한 화력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조선 정부는 부국강병이라는 이전에 도모하지 않았던 지향점을 설정하고 국정 쇄신을 도모했으며 본격적으로 관련 서적들을 대량으로 구매했고, 관련 기술을 익히기 위해 청나라와 일본으로 유학을 보냈다. 이런 대대적인 움직임을 바탕으로 정부 하위 부서들이 혁신되었고, 조선의 지적 풍토에도 영향을 미쳤다. 물론 조선 정부의 위정자들이 도입을 희망한 것은 근대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