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숲은 고요하지 않다 2 : 이종찬 회고록 (제2판, 양장
저자 이종찬
출판사 한울
출판일 2024-10-25
정가 34,000원
ISBN 9788946083417
수량
9. ‘정치 복원’ 시대
2·12 총선에서 ‘민심의 홍수’를 만나다 / 전례 없는 개원 협상: ‘대화’로 ‘돌파구’를 마련하다 / 학원안정법의 희생양들 / 노태우, ‘박종철 사건’으로 경쟁자들 정리 / ‘6월 드라마’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 ‘대한민국’은 언제 ‘건국’되었나 / ‘지는 해’의 착각, ‘뜨는 해’의 술수 / “소선거구제는 망국적 제도!” / 정말 힘들게 오른 ‘3선 고지’ / ‘여소야대’의 뜨거운 맛 / ‘중간평가’로 정국 돌파하라 했건만 / 징검다리 ‘동해 재선거’

10. 망국적 3당 합당
‘허공의 메아리’ 혹은 역린 / 무력하게 지켜본 3당 합당

11. 민주자유당 대선 후보 경선
제14대 총선 참패와 김영삼의 ‘국면 뒤집기’ / 청와대의 ‘박태준 비토’ / 김종필의 밀약 / 민정계 후보 단일화 / 경선 전초전 / “김영삼과 김종필의 시대는 갔다” / 아내가 김옥숙 여사를 만나다 / 최후의 선택을 향해 / 나는 패배하지 않았다

12. 새로운 모색
‘새정치모임’ 결성과 YS의 ‘백기 투항’ 요구 / ‘독립운동 세력이 왜 퇴조했는지 알겠다!’ / 신당 창당 작업과 김우중의 아리송한 행보 / 새한국당 창당: ‘수평적 정권 교체’를 위해 / 눈물의 합당 / 처절한 파탄 / ‘야당 정치인’으로 거듭나기 / 민주당 합류: ‘정치 초심’으로 돌아가기 / 1995년 지방선거의 명암

13. 김대중 대통령 만들기
15대 총선 패배를 딛고 대선기획팀을 꾸리다 / DJ 비서실장직을 고사하다 / 야권 단일화 작업에 끼어든 JP의 ‘정치적 음모’ / ‘DJP’를 넘어 ‘DJT’로! / ‘준비된 대통령’론으로 ‘비자금’ 파고를 넘다 / 외래형 책사 vs. 토착형 책사 / 마지막 고빗길 ‘외환 사태’

14. 헌정 사상 최초의 인수위 활동
김대중 대통령 당선 직후의 나날들 / 사상 첫 정권인수위원회의 명과 암 / ‘국민의 정부’의 새 지평을 열다

15. 국정원에서 바라본 세상
17년 5개월 만의 귀향 / 북풍과 총풍의 전모 / I
이종찬의 90년, 그 속에서 돌아본 대한민국 90년
역사가 된 시간들에 관한 현장의 기록

이종찬 광복회장의 회고록 『숲은 고요하지 않다(제2판』(전 2권가 출간되었다.

저자는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로, 4선(11~ 14대 국회의원과 김대중 정부의 국가정보원장을 지냈다.

조부의 정신을 받들며 이승만 대통령부터 윤석열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관찰자인 동시에 참여자로 살아왔다. 이 회고록은 저자가 걸어온 지난 90년의 삶과 그가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한국 정치의 민낯을 솔직하고 담담하게 써내려간 것이다.

이번에 나온 제2판은 2015년의 초판에서 ‘에필로그’와 ‘이종찬이 걸어온 길(연보’을 일부 추가하고 조정해 내놓는다. 초판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간혹 살핌이 모자랐던 부분을 손보았고, 최근의 ‘1948년 건국론’ 논란 등 제2판을 내며 저자가 남기고 싶은 말을 추가했다.

상하이 독립운동가의 집에서 한국 정치의 중심부까지
좌절과 절망 위에 도전과 희망으로 그려낸 풍경

이종찬의 90년 삶은 대한민국의 시간과 오롯이 함께했다. 그는 1936년 독립운동가들의 망명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상지인 중국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서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로 태어났다. 10대 소년 시절 광복과 함께 환국해 학창 시절을 보내는 동안 그가 어려서부터 존경했던 백범의 갑작스러운 죽음, 곧이어 닥친 한국전쟁의 비극, 이승만 정권의 부정과 몰락 등 정국의 극심한 혼란을 직접 목격하는 가운데 인생의 길을 가다듬게 된다. 이때 그는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그의 조부 우당 이회영 선생의 길을 따라 참여와 행동으로 나라의 진운과 함께할 방도를 모색하며 군인의 길을 선택했다. 그렇게 군에 봉사하는 과정에서 일찍이 ‘정보’의 중요성에 눈을 떴다.

이종찬은 1965년부터 1980년까지의 격변기에 국가 정보기관에 복무하며 수많은 역사의 현장을 지켜보았다. 각종 간첩단 사건과 무장공비 침투 사건, 이후락을 중심으로 한 중앙정보부의 선거 공작과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