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명 / 자료명
제1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호주, 뉴질랜드, 통가, 사모아, 인도
- 국교수립 - 호주, 1961.10.31
- 국교수립 - 뉴질란드, 1962.3.26
- 국교수립 - 통가, 1970.9.11
- 국교수립 - 사모아, 1972.9.15
- 국교수립 - 인도 1966-1973
제2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방글라데시
- 국교수립 - 방글라데시 1969-1973
제3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네팔
- 국교수립 교섭 - 네팔 1969
- 국교수립 - 네팔, 1974.5.15
제4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파푸아뉴기니
- 국교수립 - 파푸아뉴기니, 1976.5.19
제5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스리랑카 1
- 국교수립 교섭 - 스리랑카. 전2권 V.1 1963-70
제6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스리랑카 2
- 국교수립 교섭 - 스리랑카. 전2권 V.2 1971-72
제7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스리랑카 3
- 국교수립 - 스리랑카, 1977.11.14. 전3권 V.1 1973-1974
- 국교수립 - 스리랑카, 1977.11.14. 전3권 V.2 1975
제8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스리랑카 4
- 국교수립 - 스리랑카, 1977.11.14. 전3권 V.3 1976-1977
제9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아프가니스탄, 솔로몬아일랜드
- 국교수립 - 아프가니스탄 1972-1974
- 국교단절 - 아프가니스탄, 1978.9.17
- 국교수립 - 솔로몬아일란드, 1978
제10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투발루, 나우루
- 국교수립 - 투발루, 1978
- 국교수립 - 나우루, 1979.8.20
제11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바누아투, 키리바시
- 국교수립 - 바누아투 1976-80
- 국교수립 - 키리바시 1978-80
제12권 국교 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파
외교문서 비밀해제
국교수립 (서남아시아·태평양
15~17세기의 신항로 개척 시대를 지나며 전 세계 각 나라는 다른 나라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있어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고, 그 중요성은 세계대전과 냉전, 정보통신 혁명을 거치며 오늘날까지도 계속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한 국가 간의 인적·물적 교류는 민간 차원에서도 얼마든지 이뤄질 수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 양측의 상호 협력 관계를 공식화하는 국교 수립(수교은 한층 더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민국 역시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다른 국가와 수교를 맺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고, 분단국가라는 특징과 전쟁 후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이런 필요성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냉전 시대 논리에 따라 1950년대에는 우선 미국과 서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제1세계 우방 국가들과 수교를 진행했으며, 1960년대부터 아프리카와 남미, 동남아시아 등의 제3세계 개발도상국으로 관계를 크게 확장했다. 이후 1980년대 들어 냉전이 완화되자 북방 외교를 표방하며 적대 관계였던 중국, 소련, 동유럽 국가 등과도 수교를 맺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1990년 소련, 1992년 중국과 국교를 수립하게 된다. 현재 2024년 2월 기준 대한민국은 전 세계 193개국과 수교를 맺고 있으며, 이는 북한과 시리아를 제외한 UN 회원국 전부를 포함하는 수치다.
본 총서는 외교부에서 작성하여 30여 년간 유지한 서남아시아·태평양 국가와의 국교 수립 관련 자료를 담고 있다. 지역 구분은 외교부의 직제를 따른 것으로, 이는 방글라데시(1969~1973, 스리랑카(1963~1977, 파키스탄(1960~1983, 그리고 번외로 중국(1992 등의 자료를 포함한다. 총서는 총 20권으로, 전체 분량은 8천 5백여 쪽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