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자유 - 1954-2021년을 회상하다
저자 앙겔라 메르켈, 베아테 바우만
출판사 한길사
출판일 2024-11-26
정가 38,000원
ISBN 9788935678860
수량

프롤로그

제1부 “나는 총리가 되기 위해 태어나지 않았다”
1954년 7월 17일 - 1989년 11월 9일
1. 행복한 어린 시절 43
크비초 43 | 발트호프 50 | 베를린 장벽, 그 경악스런 충격 57 | 괴테 학교 60 | 방학 72 | 프라하의 봄 75 | 헤르만 마테른 학교 78
2. 객지 생활 91
물리학 공부 91 | 무심함 95 | 언어의 울림과 금가루 98 | 졸업장 102 | 일메나우 104
3. 동독 과학 아카데미에서 111
속도 상수 111 | 독일자유청년단과 마르크스-레닌주의 118 | 마리엔가 121 | 템플리너가 124 | 국제 교류 126 | 심리적 거리감의 증가 129 | 내 집이 생기다 134 | 서독 여행 137

제2부 민주주의 각성
1989년 11월 10일 - 1990년 12월 2일
1. 통합과 정의와 자유의 실현 149
뒤섞인 감정 149 | 정치에 첫걸음을 내딛다 153 | 특별한 선거운동 166 | 마찰과 갈등 180 | 위대한 외교의 순간 186
2. 홀로서기 189
주머니 속에서 주먹을 불끈 쥐다 189 | 연방하원 선거에 출마하다 192

제3부 자유와 책임
1990년 12월 3일 - 2005년 11월 21일
1. 동독 재건 203
성목요일 203 | 다리 골절 211 | 이웃 여자 218 | 주민 상담 시간 225 | 동독의 명과 암 228 | 공격성과 폭력에 맞서 232
2. 평등권 239
페미니스트? 239 | 경부 강직 250
3. 지속가능성 257
에너지 합의 대화 무산 257 | 환경회의: 내 속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다 268 |
생존의 대가 279
4. 왜 기독교민주당인가 283
당대표 283 | 비싼 수업료, 또는 권위를 위한 투쟁 296 | 원내대표 겸직 303 | 조기 총선 312 | 대연정: 관례를 지키다 320

제4부 독일에 봉사하다Ⅰ
2005년 11월 22일 - 2015년 9월 4일
1. 최초의 여성 총리 331
2005
2024년 11월 26일, 많은 사람이 기다려온 앙겔라 메르켈 독일 전 총리의 회고록 『자유: 1954-2021년을 회상하다』가 전 세계 31개국에서 동시 출간된다.
앙겔라 메르켈은 16년 동안 독일 정부를 이끌면서 수많은 위기를 극복했고 독일 정치뿐 아니라 국제 정치와 국제 사회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 그런 그녀도 처음부터 총리가 되려고 한 것은 아니다. 앙겔라 메르켈과 그녀의 오랜 정치적 조력자인 베아테 바우만은 메르켈이 동독에서 살아온 35년과 통일 독일에서 살아온 35년의 삶을 되돌아본다.

앙겔라 메르켈은 동독에서 보낸 어린 시절, 청소년기, 학업,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정치 인생이 시작된 1989년에 대한 개인적 목소리를 꺼내놓는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만나 나눈 대화와 국제 사회의 전환점을 되돌아보면서, 지금의 세상을 만든 결정들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생생하게 조명한다. 권력의 내막을 진솔하게 이야기하는 그녀의 회고록은 자유에 대한 절절한 호소다.

“나에게 자유란 무엇일까? 개인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내가 평생을 천착한 문제다. 자유에는 민주주의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민주주의 없이는 자유도 법치도 인권도 없다. 하지만 이 질문은 다른 차원에서도 나를 고민하게 한다. 나에게 자유란 나의 한계가 어디인지 알아내고, 그 한계까지 나아감을 의미한다. 또한 정계 은퇴 뒤에도 배움을 중단하지 않고 멈춤 없이 계속 나아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나에게 자유란 내 인생의 새 장을 연다는 뜻이다.”
_앙겔라 메르켈

책 속에서

54쪽
나는 꽤 촌스런 아이였다. 크비초에서 지낼 때는 목이 마르면 아무렇지도 않게 닭의 물그릇에 담긴 물을 마셨고, 발트호프에서는 밭에 뽑은 당근을 그냥 옷에 쓱쓱 문질러 먹기도 했다.

66쪽
동생은 특이하게 수염을 기른 그 남자를 친구들이 있는 데서 ‘뾰쪽수염’이라고 불렀다. 한 친구가 그걸 선생님에게 일러바쳤고, 그 사실은 곧 내 부모님에게 통보되었다. 이후 우리는 모든 정치적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