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이론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9
이 책이 나오기까지 13
논의를 시작하면서: 뒤르케임 사회학의 성격을 찾아서 21
제1장 뒤르케임 사회학의 지적 배경과 형성 과정 29
1.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의 지적 훈련 30
2. 고등학교 철학교사 뒤르케임 40
3. 독일과 프랑스의 영향 48
4.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태동하다 89
제2장 사회학적 방법론 99
1. 뒤르케임, 사회학의 데카르트(?: 합리주의적 실증주의를 위하여 102
2.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133
3. 『자살론』: 사회학적 방법론의 구체적 적용 사례 141
4. 사회학의 고유한 인식대상과 인식방법을 확보하라: 뒤르케임의 사회학적 정언명령 150
제3장 뒤르케임 사회학의 초기 전개 과정 167
1. 분업과 사회 168
2. 집합의식에서 집합표상으로 205
3. 자살과 사회 233
4. <보론> 한국 사회의 강제적 분업과 숙명적 자살: 뒤르케임의 눈으로 본 병리적 사회의 초상 266
제4장 개인과 사회의 관계 299
1. 기체-산물-모델: 사회의 발현적 성격 301
2. 방법론적 전체주의를 위하여 322
3. 개인과 사회(적 사실의 변증법 331
4. 호모 듀플렉스: 인간본성의 이원성과 그 사회적 조건들 368
제5장 도덕의 문제 381
1. 도덕적 사실은 사회적 사실이다 384
2. 도덕물리학: 사회학적 칸트주의 1 404
3. 개인숭배와 도덕적 개인주의 445
4. 도덕교육 463
제6장 뒤르케임 사회학의 지평 493
1. 종교사회학 495
2. 지식사회학 1 (분류의 사회학 537
3. 지식사회학 2 (사회학적 인식론: 사회학적 칸트주의 2 552
4. 정치사회학 586
논의를 마치면서: 뒤르케임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641
에밀 뒤르케임 주요 저작 목록 656
에밀 뒤르케임 연보 658
참고문헌 662
인용문헌 687
인명 찾아보기 693
사항 찾아보기 698
그 첫 책: 에밀 뒤르케임, 사회학의 선구자 콩트를 넘어 베버·짐멜과 함께 진정한 사회학의 창시자가 되다
근대가 낳은 학문 가운데 하나인 사회학을 창시한 사람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 1798~1857이다. 당시 (자연과학을 모델로 재조직된 실증철학은 19세기의 가장 인상적인 사건이자 프랑스 철학사에서 데카르트주의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지적 조류였는데, 그 하위범주인 실증주의 사회학은 19세기의 위대한 혁신 가운데 하나였다. 즉 콩트는 실증주의 과학의 목록에 사회학이라는 또 하나의 과학을 추가하는 매우 힘든 작업을 해낸 지적 거장이었다. 이러한 지성사적 위치와 의미를 갖는 콩트는 에밀 뒤르케임(?mile Durkheim, 1858~1917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뒤르케임이 콩트를 통해 사회학의 존재, 그러니까 고유한 인식대상과 인식방법을 가진 하나의 독립적인 과학으로서의 사회학의 존재를 알게 된 사실이다.
하지만 뒤르케임은 콩트(와 더불어 허버트 스펜서의 실증주의를 비판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논리를 개진해 나간다(이를 잘 보여주는 뒤르케임의 저작인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은 ‘과학적 사회학의 선언’으로 평가받는 저작으로. 그것이 출간된 1895년은 또한 ‘과학적 사회학의 도래’의 해로 평가되곤 한다. 즉 뒤르케임이 보기에 콩트와 스펜서의 실증주의가 자신의 실증주의처럼 경험적·귀납적 합리주의가 되지 못하고 실증주의적 형이상학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콩트와 스펜서가 사회적 사실들을 사물처럼 다루지 않고 사회적 현상에 전적으로 관념적인 방법을 적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콩트와 스펜서는 각각 진보라는 관념과 협동이라는 좁은 관념에다가 수많은 사회적 사실을 쑤셔넣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콩트와 스펜서는 관찰과 귀납에 기반하는 사회학을 표방하고 나섰지만 개별적인 사회가 아니라 인류 전체 또는 인간사회의 발전법칙을 사회학의 인식대상으로 설정하고 관념적인 방법에 의존함으로써 엄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