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웃는데
나는 웃지 못할 때
농담 같은 현실에 실소하다가도 이내 웃음기를 거둔 채 맞은 새해. ‘웃을 일이 아니다…….’ 어두운 시절에 어떻게 즐거움을 되찾을 수 있을까? 《한편》이 ‘유머’ 호에서 필자들에게 답을 청한 질문은 두 가지다. 무엇을 보고 웃나요? 그리고 누구와 함께 웃나요?
웃음은 사람들이 모이고 흩어지는 기준이다. 어떤 모임에 나가고 특정 커뮤니티에 접속하는 이유는 그곳에서 내가 웃기 때문. 함께 웃지 못하는 공동체는 끝내 뿔뿔이 흩어지고 만다. 어긋나는 웃음은 서로의 사이와 차이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어떤 유머에 누군가는 자지러지지만 다른 누군가는 불편함을 감추지 못하고, 공감하며 웃는 사람 옆에 조롱의 웃음을 짓는 사람이 있다. 어떻게 하면 이 웃음의 격차를 드러내고 메우면서 마침내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까?
절망이라는 조건에서
나와 세상을 알아가기
진지한 현실에서 기발한 상상력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이야기가 만들어 내는 격차는 웃음을 자아낸다. 소설가 들깨의 「지배자의 몰락」이 묘사하는 현실은 악의로 가득하지만, 세상에는 악을 막을 수 있는 “부조리하고 우스꽝스러운” 것들도 있다. 정치평론가 김민하의「누구와 웃을 것인가」는 불법 계엄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응원봉과 오타쿠 깃발이 등장한 시위의 의미를 짚는다. 독재자가 숭고함으로 무장하고 농담을 말살할 때, 거리로 나온 일상적 농담들은 앞으로 이어질 긴 겨울을 버틸 귀중한 자원이다.
인플루언서로서 느끼는 부자유와 질병의 통증 속에 침잠하던 작가 복길은 「나락에서의 농담」에서 유머의 조건을 사유한다. 유머가 “자신의 고통과 타협하지 않기 위한 싸움”이라면, 절망은 유머를 터득하기 위한 가장 좋은 조건이다. 작가 안담의「강간 농담 성공하기」는 정확한 웃음을 생산하기 위해 타인을 관찰하고 자기를 탐구한 기록이다. 불문학자 김영욱은 「보고서: 루소와 밀레의 우정」에서 온라인상 거짓 소문의 기원을 조사하며 모르는 이들의 삶을 엿본다. 내 농담에 웃지 않는 이들의 얼굴에 비추어 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