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저자의 말
제1부. 한비자(韓非子와 《한비자(韓非子》
한비자는 어떤 사람인가?
한비자의 생애 / 한비자와 관계된 인물들 / 다른 법가 사상가들과의 관계 / 한비자와 《한비자》에 대한 역대 논평 한비자와 ‘구흘(口吃’ / 한비자 연보
《한비자》는 어떤 책인가?
중국 사상사의 뜨거운 감자 / 법(法·술(術·세(勢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우화와 고사성어의 보물창고 /《한비자》의 체제와 구성 / 읽을 만한가? 어떻게 읽어야 하나?
제2부.《한비자》 가볍게 읽기
리더의 수준은 누구와 함께하느냐로 결정된다
성공하는 리더의 조건
리더의 언행은 소리 없는 명령이다
재능, 자리, 권한, 책임
인재 기용의 오차 구역
현대적 의미의 카리스마와 ‘권위(權威’
월권(越權의 방지가 곧 리더십이다
한비자가 말하는 네 가지 금기사항
자기 절제(SelfControl의 끈을 놓지 말라
사람을 알아야 한다-식인학(識人學
경험에도 유효 기간이 있다
네 자신을 알라
자신과 싸워 승리하라
머릿수만 채우는 사람은 되지 말라
내 안의 시기와 질투심을 통제하라
신용과 명예의 전제조건
여지(餘地를 남겨두어라
외모와 내면의 관계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지, 산에 걸려 넘어지지 않는다
헐뜯는 말은 서서히 스며든다
끊을 수 없다면 통제해라
제3부.《한비자》 무겁게 읽기
서문표, 권력자를 시험하다
‘속일 수 없었던’ 정자산
‘차마 속이지 못한’ 복자천
‘감히 속이지 못한’ 서문표
서문표, 두 차례 업을 다스리다
자한, 공직자의 자세에 대한 성찰
노단, 뇌물로 자리를 사려 하다
위 문후, ‘교사(巧詐’와 ‘졸성(拙誠’의 성찰
오기, 입으로 고름을 빨다
위 문후, 덕으로 굴복시키다
안영, 많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
조리의 분석과 계시
손빈, 물에 빠지길 기다렸다가 손을 뻗치다
한 소후의 ‘권술(權術’
자지, 거짓말로 부하들을 시험하다
공자 지, 진왕의 결단을 유도하다
습사미, 나무를 베게 했다가 중
최고들만 보는 책 《한비자》, 최고가 되고자 하는 이는 《한비자》를 읽어라!
“오래전부터 한비자와 《한비자》에 관한 글을 써보고 싶었다. 한비자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필자가 평생 사모하며 공부하고 있는 사마천이 깊은 관심을 가졌고, 당연히 그의 전기를 남겼다. 특히 그의 짧은 행적 중에 진시황이 한비자의 글을 읽고는 “이 사람을 한 번만 볼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라고 탄식한 대목은 ‘대체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일까?’라는 의문과 관심을 갖게 만들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책의 제목도 진시황의 이 탄식에서 빌렸다.
《한비자》에 대한 역대 평가는 매우 다양하다. ‘제왕학(帝王學의 교과서(敎科書’라는 가장 유명한 논평부터 ‘천하제일금서(天下第禁書’라는 평가까지 극과 극을 달린다. 그러나 어떤 논평이나 평가가 되었건 각계각층의 리더들이 유용한 리더십을 장착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여기서 말하는 ‘도움’은 미묘한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일반적인 리더십은 물론 특수한 상황, 비상한 시기에 필요한 특수하고 비상한 리더십 발휘에 통찰력을 줄 수 있는 내용들이 적지 않다. 물론 이런 리더십 행사에는 상당한 위험이 따를 수 있다는 점도 미리 지적해둔다.”
-<편저자의 말> 중에서
이 책은 대체로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 관계의 속성과 그 이면에 담긴 본질,
나아가 살면서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점들을 찾아내고자 애를 썼다.
《한 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편저자는 《한비자》를 읽고 분석해 보니 대체로 다음 여섯 가지의 입장 중 한둘을 골라 읽기에 나서면 유익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한다.
첫째, 법가 사상을 집대성했다는 기존의 일반적 평가와 명성에 맞추어 철학서나 사상서로 읽을 것인가?
둘째, 정치학, 특히 권력과 관련한 정치학의 교과서라는 평가에 맞추어 읽을 것인가?
셋째, 제왕학이라는 별칭에 주목하여 리더와 리더십이란 관점으로 볼 것인가?
넷째, 수많은 우화(寓話, fable에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