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를 펴내며 5
1장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인류문명사에서의 위치 | 신용하 11
―고조선문명의 사회사적 고찰
1. 지구의 최후빙기와 구석기 인류 동방행렬의 종착지 고(古한반도 13
2. 인류 최초 문명 탄생의 조건 21
3. 인류 최초 독립 문명과 잃어버린 고조선문명 24
4.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특징 1 26
5.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특징 2 42
6. 인류문명사에서 고조선문명의 지위와 위상 46
7. 고조선문명이 고중국문명의 탄생에 미친 영향 47
8. 맺음말 50
2장 신시문화의 정체와 고조선문명의 미래 | 임재해 55
1. 신시문화의 지속성과 역사적 존재감 57
2. 건국 본풀이의 형성과 역사 서술의 인식 62
3. 태양시조 사상과 홍익인간 이념의 합일 67
4. 신시문화의 바탕을 이룬 신석기인의 생활 73
5. 재세이화의 통치체제와 이상적인 공동체 79
6. 민족문화 유전자의 역사적 지속과 변화 88
7. 현재진행의 신시문화 정체성과 역사인식 97
8. 신시문화에 입각한 현실 인식과 미래 전망 102
9. 고조선문명의 역사철학과 미래 문화 구상 107
10. 고대문명 연구의 한계와 문명론의 진전 110
11. 문화론과 변별되는 문명론의 새 범주 구상 113
12. 고조선문명의 유산과 인류문명의 재인식 117
3장 요하문명의 발견과 한반도 | 우실하 121
―요하문명 도사 유지의 발견과 단군조선의 가능성
1. 글을 시작하며 123
2. 요하문명에 대한 간략한 소개 128
3. 요하문명과 한반도와의 관련성 141
4. 요임금의 도성 평양으로 밝혀진 도사 유지와 단군조선 170
5. 요하문명과 한국 학계의 과제 180
6.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188
4장 고조선문명권의 흥망과 해륙활동 | 윤명철 193
1. 머리말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그 결과물로 ‘고조선문명 총서’(지식산업사, 2018를 출간하였지만, 그 분량과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비전공자가 쉽게 다가갈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런 요청에 응하여 총서 여섯 권을 간추려 한 권으로 엮어 펴낸 책이 바로《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이다. 이 책을 시작으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한반도 고대사의 참모습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풀어 쓴 ‘한국문명연구학회 총서’를 계속해 발간하고자 한다. 독자들은 기존의 교과서적인 고대사 서술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한반도의 숨겨진 역사,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서 있는 이 땅의 반만년 전 모습을 새로이 탐구하는 이 책을 통해 필자가 던지는 질문,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1장에서 신용하 교수는 한반도의 고대 문화가 문명으로서의 위상을 갖는 근거를 제시하며 고조선문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2장에서 임재해 안동대 명예교수는 한반도에 이어져 내려온 신시문화의 연속성을 밝힌다. 3장에서 우실하 한국항공대 교수는 최근 발굴된 요하문명이 한반도의 문화와 가진 연관성에 주목하여 동북아시아 고대사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4장에서 윤명철 동국대 교수는 터 이론과 더불어 해양과 육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해륙문명의 개념으로 고조선문명과 그 문명권을 재구성한다. 5장에서 백종오 한국교통대 교수는 요하문명의 유적ㆍ유물을 시대별로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흐름과 권역, 그리고 그 주체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 박선희 상명대 명예교수는 복식 유물을 토대로 중국 홍산문화와 한반도 문화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권역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