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과 차별을 뛰어넘어 세상을 바꾸는
핫한 말, 쿨한 말, 힙한 말
‘음’, ‘어’ 같은 공백 채움말은 사용하면 어눌해 보인다는 편견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적 단어로 인정받고 있다. ‘like(그러니까, 있잖아’는 언어를 망치는 대재앙 취급을 받으면서도 전 세계 모든 영어의 구석구석 파고들어 그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사람들은 과학, 예술, 경제 등 다른 분야의 진보와 혁신은 환영하고 반기지만 유독 언어 변화에 대해서는 거부 반응을 보인다. 그럼에도 언어 변화는 반드시 일어난다. 도구 사용을 가능하게 한 ‘마주 보는 엄지’나 털 없는 피부처럼 인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었던 진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언어 역시 생존을 위해 변화하고 진화한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언어는 변화와 재창조의 소용돌이를 버티고 살아남은 것으로, 각자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다. 《우리가 이렇게 말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어》(원제: Like, Literally, Dude는 언어가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대변하며 변화와 재창조를 겪는 과정을 탐구한다. 더 나아가 말투와 말하는 방식에 대해 평가하는 기준이 문법적 올바름보다 언어 사용자 집단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혀낸다.
이 책의 저자 발레리 프리들랜드는 네바다대학교 교수로 언어 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성별, 세대, 계층, 인종 등의 사회적 요인이 인간의 언어, 특히 음성 언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가르치는 사회언어학자다. 이 책은 고대 및 중세 문헌부터 거장의 문학작품, 최신 자료까지 방대한 언어학 연구 결과를 저자 특유의 위트와 유머를 곁들여 인용하며 ‘단정치 못한’ 언어 습관 뒤에 감춰진 사회, 문화, 역사적 단서를 추적한다. 여성이나 젊은 세대 등 권력의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오랜 편견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주체적으로 언어 변화와 혁신을 이루어내는지 보여준다.
한국어판에는 ‘언어감수성’이라는 단어를 대중들에게 최초로 전파하고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신지영 교수(고려대 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