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철학은 삶과 노년과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게 하는가
1장. 나이 듦
세상의 관념에 당신의 노년을 맡기지 마라 _키케로의 노년론
어떻게 즐기며 살 수 있는가 _보부아르의 실존주의
나이 들었다는 건 살아남았다는 것 _몽테뉴의 달관
무엇에 인생의 가치를 둘 것인가 _융의 정신분석
나이 든 사람은 사회의 짐이 아니다 _와시다 기요카즈의 노년 윤리
2장. 질병
어떻게 질병에 저항할 수 있는가 _알랭의 행복론
무엇을 먹고 마셔야 하는가 _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왜 우리는 무리하게 몸을 움직이는가 _메를로 퐁티의 신체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방법 _노자의 도 사상
질병의 고통이 끝내 우리를 유익하게 한다 _니체의 질병론
3장. 인간관계
나이 들어 가족의 도움을 받는다는 것의 의미 _와쓰지 데쓰로의 가족 윤리
어떻게 일하며 관계 맺을 수 있을까? _호퍼의 노동론
나와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법 _레비나스의 타자론
외로움이 찾아올 때 해야 할 일들 _쇼펜하우어의 고독 권장
나이 든 사람은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 _프롬의 사랑의 철학
4장. 인생
인생을 어떻게 재미있게 살 수 있을까? _러셀의 행복론
돈이란 무엇인가 _짐멜의 돈의 철학
잠들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_힐티의 신의 선물
끝없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는 힘 _미키 기요시의 인생론
인생의 궁극적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 _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
5장. 죽음
죽음과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가 _장켈레비치의 죽음의 대화
좋은 죽음을 맞이하려면 _알폰스 데켄의 생사학
사람은 왜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가 _뒤르켐의 자살론
죽음의 불안에서 벗어나는 법 _하이데거의 불안론
죽음은 언제나 예견하지 못한 순간에 찾아온다 _모랭의 시적인 삶
마치며: 인생의 오후부터 진짜 삶은 시작된다
참고문헌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삶의 중대한 질문!
“지혜롭고 만족스럽게 나이 들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나이가 들수록 우리는 불안해진다. 세월이 흐른 만큼 더욱 단단한 사람이 되어가기를 기대함과 달리 우리는 여전히 작은 일에도 폭풍처럼 흔들린다. 지금 내가 잘 살아가고 있는지, 내 곁의 사람들은 왜 자꾸만 떠나가는지, 은퇴 후에는 어떻게 먹고살아야 할지…. 기나긴 인생이기에, 우리는 지금껏 살아온 시간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들에만 집중하려 한다. 그러나 지금 만일 당신이 해가 저물어가는 인생의 오후, 즉 삶의 전환점에 서 있다면 이제는 지나온 나날을 돌아보고 현재를 점검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다시금 고쳐잡는 시간이 다가왔음을 의미한다. 지혜롭고 의미 있는 인생은 우리를 끝도 없이 앞으로 이끄는 큰 목표가 아니라 아주 작은 성찰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지금껏 세월을 거듭하며 쌓아온 인간의 가장 오래된 지혜인 철학은 이때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될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키케로, 보부아르, 에피쿠로스, 니체, 쇼펜하우어, 하이데거, 몽테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 25명에게서 발견한
삶과 죽음, 나이 듦의 진정한 의미와 깊은 통찰
《인생의 오후에는 철학이 필요하다》는 인간이 결코 피할 수 없는 삶의 고민인 나이 듦, 질병, 인간관계, 인생, 죽음이라는 다섯 가지 주제에 대해 철학자들의 지혜와 통찰을 담은 철학입문서이다. 나이 든 사람은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 질병의 고통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죽음과 어떻게 마주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 앞에 키케로, 보부아르, 몽테뉴, 융, 장켈레비치, 하이데거 등 25명의 철학자들은 저마다의 사상과 관점으로 우리에게 해답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고대 로마의 위대한 철학자 키케로는 저서 《노년론》에서 나이 듦에 관한 네 가지 편견을 소개하고 하나씩 논박해 나갔다. 그는 ‘자연적으로 인간은 변화할 뿐이며 이는 어떠한 문제도 아니다’라고 설파했다.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