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4
프롤로그 문해력을 키우는 힘 6
어휘력을 키우는 어휘 학습 원리와 이 책의 활용법 10
1주 차
배 선 어선 / 승선 / 선장 / 조선소 19
수레 차 차비 / 주차 / 차선 / 무임승차 23
옷 의 의류 / 내의 / 탈의 / 인상착의 27
옷 복 교복 / 군복 / 한복 / 양복 31
공 구 구형 / 구장 / 피구 / 전력투구 35
1주 차 복습 39
2주 차
줄 선 무선 / 직선 / 시선 / 탈선행위 43
약 약 약국 / 약초 / 치약 / 백약무효 47
기름 유 주유 / 유성 / 식용유 / 유조선 51
쇠 철 강철 / 고철 / 전철 / 촌철살인 55
숯 탄 석탄 / 연탄 / 탄산수 / 도탄지고 59
2주 차 복습 63
3주 차
말 마 마차 / 승마 / 경마 / 죽마고우 67
소 우 우유 / 투우 / 견우 / 구우일모 71
물건 품 식품 / 반품 / 품절 / 천하일품 75
뿔 각 두각 / 각도 / 직각 / 교각살우 79
물고기 어 어류 / 어항 / 인어 / 연목구어 83
3주 차 복습 87
4주 차
실과 과 과수 / 결과 / 성과 / 인과응보 91
나무 수 수목 / 수액 / 가로수 / 활엽수 95
뿌리 근 근본 / 근거 / 근절 / 사실무근 99
풀 초 초가 / 초식 / 잡초 / 결초보은 103
수풀 림 산림 / 밀림 / 임업 / 주지육림 107
4주 차 복습 111
5주 차
실제 실 현실 / 실력 / 실물 / 이실직고 115
쌀 미 백미 / 미음 / 군량미 / 정미소 119
잎 엽 낙엽 / 엽전 / 침엽수 / 일엽지추 123
그림 화 화가 / 화실 / 민화 / 화룡점정 127
은 은 은행 / 은화 / 은박지 / 금은보화 131
5주 차 복습 135
6주 차
꼬리 미 미행 / 말미 / 대미 / 거두절미 139
그릇 기 석기 / 식기 / 장기 / 대기만성 143
고기 육 육식 / 육류 / 육체 / 고육지책 147
피 혈 혈관 / 혈액 / 출혈 / 열혈남아
정보화 시대, 문해력이 경쟁력이다”
우리 아이 문해력을 키우는 한자어 수업
최근 한 회사가 소셜미디어에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라는 공지문을 올렸다. 그랬더니 많은 네티즌들이 ‘정중하게 사과해야지 뭐가 심심하냐?’라는 항의성 댓글을 잇따라 달았다. ‘심심(甚深한’ 사과를 ‘깊고 간절한 사과’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문해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최근 한 정치인이 “무운(武運을 빈다.”라고 말하자 현직 기자가 ‘운이 없기를 빈다’라는 뜻의 ‘무운(無運’으로 해석해서 보도하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졌다. 그래서 ‘명징하게 직조하다.’라는 영화평론가의 글에 누리꾼들이 무슨 말이냐며 항의하는 건 당연한 일처럼 느껴질 정도다.
이런 일들을 하나의 해프닝으로 넘길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최근 초등학교 교사 상당수가 학생들에게 교과서의 어휘를 지도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초등학교 1·2학년 담임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어 과목은 67%, 수학 과목은 60.3%가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대부분 전문가가 어휘력을 위해 기본적인 한자 교육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초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제대로 된 한자 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아이들의 문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한자어 공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아이에게 바른 어휘력 학습법을 알려 주는 것이 중요하다. 문해력은 평생 학습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경쟁력이 되기 때문이다.
어휘 학습 원리를 바탕으로 한
4단계 한자어 수업
지금까지 시중에 출판된 한자 교재는 대부분 한자 그 자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자를 쓰는 방법과 뜻만 암기하는 공부는 한자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어휘력 향상을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전병규 저자는 한자 자체보다는 어휘를 깊고 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