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장. 길을 헤매기 위한 길잡이
: 좀비 영화에서 죽지 않고 사는 법
복작복작 모여들어 (다른 사람 말은 듣지 않고 웅성웅성 떠들어대는 사회
현대인은 자기 혼자 판단하고 결정한다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평온하다
우리는 좀비 영화에서 일찍 죽는 사람처럼 살고 있다
현대인은 즉각적이고 단편적인 자극에 둘러싸여 있다
수수께끼를 수수께끼인 채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
‘후련함’과 ‘답답함’을 구별해서 쓴다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
자신을 의심한다는 ‘모험’
[칼럼] 대중사회이론과 미디어이론 그리고 대상관계이론
2장. 스스로 생각하지 않기 위한 철학
: 천재들의 문제 해결 방식을 토대로 생각하는 힘
철학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일까
철학자도 넷플릭스를 보고 닥터마틴을 신는다
스스로 생각하면 아웃풋이 평범하다
자기 힘보다는 신중함이 중요하다
숲을 걷는 방법을 배우듯 생각하는 기술을 배운다
일문일답으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
지식과 상상력이라는 두 개의 바퀴
2,500년간의 문제 해결 능력을 내 것으로
섣부르게 이해하려고 하면 안 되는 이유
철학을 배울 때 흔히 하는 두 가지 실수
언런(탈학습하기 전에 런(학습하자
센스메이킹에도 지식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은 상상력의 레퍼토리가 넓다는 것
내 안에 다양한 사람을 살게 한다
철학을 탐험할 때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칼럼]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3장. 연결되는 동안 잃어버린 ‘고독’
: 스마트폰 시대의 철학
스마트폰이 바꿔버린 우리 사회
‘상시 접속 사회’에서 잊힌 감각
‘고독’의 상실 반사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산만해진 사람들
관심경제와 스마트폰이 집중을 빼앗는다
‘고독’의 상실 자기 자신과 함께하지 못하는 사람들
‘고립’ 속에서 ‘고독’해질 수 있다 한나 아렌트의 철학
‘고독’과 ‘외로움’은 어디로 갔는가
제대로 상처받기 위한 고독
감
분주한 세상에서 ‘나’와의 시간을 잃어버린
우리에게 필요한 ‘고독’과 ‘철학’에 대하여
★ 김겨울, 이연, 이충녕 추천
현대 사회는 언제나 타인과 연결되어 있는 ‘상시 접속 사회’다. 언제 어디서나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건 물론이거니와 세계 어느 곳의 뉴스라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고, 언제든지 인터넷상에 내 생각과 의견을 전시할 수 있는 사회.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은 더욱 외로워졌다. 비는 시간 없도록 바쁘게 멀티태스킹하고, 자극적인 릴스와 정보에 사로잡히고, 뚜렷한 이유 없이 핸드폰을 스크롤링하느라 밤잠을 설치는 건 ‘외로움’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방편이다. 이것은 악순환이다.
우리는 왜 늘 분주하고, 서로에게 둘러싸여 있는데도 외롭다고 느끼는 걸까? 이 책의 저자인 일본의 젊은 철학자 다니가와 요시히로는, 우리가 ‘고독’할 시간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사람들은 도시라는 공간에서 복작복작하게 모여 살아가지만, 서로의 생각과 의견에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저 자신의 말만 늘어놓는다. 도시를 살아가는 우리는 감정과 현상을 깊이 사유하고, 자기 스스로와 대화할 시간을 잃는다. 겉으로는 문제없이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추슬러야 할 감정들은 그러지 못해 우울해지고, 조금만 복잡한 일도 처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우리에게 저자는 철학을 권한다. 지식의 거장들이 2500년간 이어온 사색과 대화에 참여하면 우리 자신을 직시할 수 있다고 말이다. 니체, 오르테가, 한나 아렌트, 파스칼과 같은 철학자의 이야기와 더불어 <에반게리온>, <드라이브 마이 카>, <용쟁호투> 등 대중문화를 곁들여 현대인이 어떻게 병들어 있는지를 짚어주며, ‘쾌락적 나른함’, ‘우울증적 쾌락’에 빠져 있는 우리의 모습을 직시하게 한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건강하고 ‘나답게’ 살아갈 수 있을지를 철학을 통해 가르쳐준다.
삶의 한복판에 멈춰 선
우리를 일으키는 철학의 힘
일본의 젊은 철학자 다니가와 요시히로는 이 책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