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__스포츠 리터러시를 하는가
스포츠과학의 황금시대 / 스포츠과학의 미다스 터치 / 한국 스포츠 4.0과 인문적 스포츠 / 왜 스포츠 리터러시인가 / 인문적 스포츠 향유하기 / 운동 문맹자와 운동 문명인
2장__스포츠로 문학하라
이 소설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 / 읽는 스포츠와 스포츠문학 / 낯설지만 낯설지 않은 / 자연과 경기장에서 만나는 문학 / 스포츠 라이브러리를 위하여
3장__철학과 함께하는 스포츠
생각을 실행하고 실행을 사고하라 / 스포츠에서 깨우친 삶 / 몸과 기술에 대한 오해 / 우리가 철학이라고 부르는 것들 / 스포츠를 스포츠답게 하려면 / 축구화를 신은 소크라테스 / 스포츠와 철학, 서로 스카웃하라
4장__스포츠와 종교의 지란지교
스포츠와 종교의 불편한 관계 / 신적 수행에서 삶의 덕목으로 / 누군가에게는 여전히 거북한 / 스포츠와 종교의 호혜적 컬래버 / 달리기가 마음에 말하는 것 / 믿음으로 뛰고 뛰면서 알리고 / 협업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5장__스포츠와 미술의 창의적 융합
스포츠를 즐기는 미술관 / 인류는 왜 그 동작을 그렸을까 / 올림픽의 미술 사랑, 예술올림픽 / 역동적인 순간을 위하여 / 살아 움직이는 듯한 동작들 / 미술가가 된 스포츠 선수들 / 움직임을 새롭게 해석하다 / 창의적인 만남을 기대하며
6장__스포츠는 어떻게 시작했을까
스포츠의 오랜 흔적을 찾아 / 인류가 기록한 스포츠 / 필요와 모두를 위한 출발 / 스포츠가 융성한 이유
7장__e스포츠도 스포츠인가
우리가 ‘sport’라고 말할 때 / 그러나 스포츠 진화한다 / 언제까지 과거에 머물 것인가 / 멘탈 스포츠, 마인드 스포츠 / 스포츠 곁의 디지털 스포츠 / 스포츠를 개념화하라 / 다시 스포츠란 무엇인가
8장__우리 시대의 김나지움을 위하여
‘아테네 학당’에서 만나는 김나시온 / 김나시온의 체육 공간과 활동 / 누가 가르치고 배웠을까 / 온전한 쉼으로써 얻는 것 / 김나시온이라는 스포츠센터 / 경쟁에 매몰되
서울대 체육교육과 최의창 교수가 말하는
스포츠 리터러시의 세계
《인문학으로 스포츠하라》
새롭게 부각하는 스포츠 리터러시
스포츠는 게임이면서 경기다. 상대방과의 대결을 통해 승부를 겨루는 세계다. 또한 스포츠는 문화이면서 생활이다. 일상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의 생활을 구성하고 있다. 예능 프로그램이 되고, 쇼핑센터의 패션 상품으로, 소설의 내용이 되기도 하며, 조각 작품의 소재가 된다. 철학자들의 탐구 대상은 물론이고 종교학자들의 진지한 관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스포츠는 그 자체로 가장 관심받는 문화 중의 문화로서 성장했다. 이뿐만 아니라 미술, 음악, 건축, 영화 등 모든 문화양식의 주요 소재와 내용이 되고 있다. 하지만 스포츠를 제대로 향유하려면 인문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스포츠 리터러시해야 한다.
스포츠 리터러시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창안한 서울대 체육교육과 최의창 교수는 “스포츠 리터러시는 경기 세계보다 더 다채로운 모습으로 존재하며, 스포츠의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고 즐기게 해준다. 스포츠를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포츠를 알고 느끼고, 그 가치를 새롭게 찾아준다.”고 말한다.
스포츠 리터러시란 스포츠를
인문적으로 향유하는 능력이다
최의창 교수가 신간 《인문학으로 스포츠하라》를 펴냈다. 최의창 교수는 이 책에서 스포츠 리터러시의 개념과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스포츠 리터러시 현장을 살펴보고, 인문적 스포츠의 방향을 제시한다.
1장부터 5장까지 인문학의 주요 영역인 문학, 철학, 종교, 미술의 관점에서 스포츠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스포츠 리터러시, 즉 인문적 스포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다. 인문적 스포츠, 스포츠문학, 스포츠철학, 스포츠종교, 스포츠미술에 관해 설명하며, 스포츠를 실천하는 활동과 그 결과물을 살펴본다.
6장에서 10장까지는 주제별로 인문적 스포츠와 스포츠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를 더한다. 이들 장에서 스포츠 종목들의 기원, 스포츠의 개념과 종류, 스포츠가 지닌 교육적 가치, 스포츠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