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말
여는 말
Chapter 1 이제까지의 성교육,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Chapter 2 앞으로의 성교육, 어떠해야 할까요?
Chapter 3 예뻐지고 싶은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다고요?
Chapter 4 성적 자기결정권이 마음대로 성관계하겠다는 말일까요?
Chapter 5 ‘동의’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 있나요?
Chapter 6 보다 행복한 관계를 누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Chapter 7 성 역할 고정관념에 깊이 빠져 있진 않나요?
Chapter 8 여성성의 또 다른 이름을 아시나요?
Chapter 9 해로운 남성성이란 무엇일까요?
Chapter 10 ‘여성성’과 ‘남성성’이 재생산되는 곳이 가정일 수 있다고요?
Chapter 11 경계선은 비눗방울이 아니라고요?
Chapter 12 주먹으로 때리는 것만이 폭력이 아니라고요?
Chapter 13 젠더에 기반한 폭력이란 무엇일까요?
Chapter 14 지금도 매 순간 디지털 성폭력이 일어나고 있다고요?
Chapter 15 성매매가 나랑 무슨 상관이 있나요?
Chapter 16 성희롱이 아니라 ‘직장 내 성적 괴롭힘’이라고요?
Chapter 17 데이트폭력과 가정폭력은 가까운 사이라고요?
Chapter 18 조심하라는 말이 피해자를 비난하는 말이 될 수 있다고요?
Chapter 19 2차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아시나요?
Chapter 20 도움이 필요할 때 요청하는 방법을 아시나요?
닫는 말 334
책 속에서
성교육에서 몸과 섹스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맞지만, 몸과 섹스에 대한 이야기가 성교육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합니다. 유네스코의 ‘포괄적 성교육’ 가이드를 보면 여덟 가지 핵심가치를 제시하고 있어요. 이 핵심가치들을 보면 ‘성’이라는 것은 나와 내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그 사람들과 형성되는 다양한 관계들은 물론이고, 나와 그들의 권리, 내가 속한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 등의 다양한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39쪽
나는 나의 성적 욕망을 알고 있는지, 그것을 인정하는지, 정확히 이야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연애하고 싶은 상대가 생겼다면 상대에게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지, 거절도 잘 당할 수 있는지, 연애 중이라면 상대에게 내가 원하는 스킨십을 요구하거나 원치 않는 스킨십을 거절할 수 있는지 등이 모두 성적인 주체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내용입니다. 이 책이 성적인 주체로 살아가는 방법과 다른 사람들을 성적인 주체로 존중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70쪽
‘성에 대해 알려주면 호기심이 생기고 그러면 더 위험해질 거야’라고 생각하는 양육자들과 교사들이 많아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알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에게 가장 이롭고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도와야 해요.
성관계란 평등한 관계에서 서로가 원하는 것을 즐겁고 안전하게 행하는 거라는 점을 분명히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즐겁고 안전한 성관계’가 아닌 성폭력, 성 착취, 성매매가 무엇인지 알게 되고 적극적으로 피할 수 있게 되죠. 모든 성적 행동을 그저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규정하고 통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246쪽
만약 내가 무언가에 대해서 ‘싫다’고 했을 때 상대방이 상심하거나 짜증을 낸다고 하더라도 나는 나의 경계를 항상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좌절감을 떨쳐내는 건 상대방의 몫이에요. 상대방의 반응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