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나 아렌트 정치미학
저자 서유경
출판사 세창출판사
출판일 2025-03-04
정가 26,000원
ISBN 9791166843921
수량
서문 후기-근대의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

제1부 아렌트 ‘정치미학’이란 무엇인가?
1장 ‘새로운’ 정치철학
1. 한나 아렌트의 학문적 정체성 이슈
2. 아렌트 정치철학의 ‘개성원리(Thisness’
3. 칸트 ‘미학’에서 아렌트 ‘정치미학’으로
1 18세기 칸트 미학의 등장
2 21세기 아렌트 정치미학의 탄생
2장 정치사상 체계로서 ‘아렌트주의(Arendtianism’
1. 아렌트 정치철학의 지향성과 방법론
1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의 결합 추구
2 ‘철학적’ 반(反정초주의(Antifoundationaism
2. ‘아렌트주의(Arendtianism’의 이론 틀
1 하나의 ‘이즘(Ism’으로서 아렌트주의
2 ‘아렌트주의(Arendtianism’의 기본명제와 정치원리
3. 아렌트주의와 아렌트 정치미학
3장 아렌트의 『판단력 비판』 독해
1. 칸트의 반성적 판단 모델
2. 『판단력 비판』의 창조적 재해석
1 심미적 판단 기준으로서 자기충족성
2 판단의 상호주관적 타당성
3 판단함과 행위함의 상호연계성
4 심미적 판단의 무도덕성과 정치성
3. 정치미학의 명제: 판단의 자기-정초적 토대

제2부 사유, 사유함, 그리고 실존적 정치존재론
4장 독일 실존주의 철학과 사유함
1. 하이데거의 ‘다자인(Dasein’ 존재론
2. 야스퍼스의 ‘엑시스텐츠(Existenz’ 존재론
3. 아렌트의 ‘정치적 실존주의’ 존재론
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적 실존주의와 시간성
2 인간실존, 사유함, 그리고 카프카의 ‘그(He’
5장 사유(Thought와 사유함(Thinking
1. 사유는 반복과 차이의 발생사건
1 사유의 ‘자기충족성’ 허구2 ‘페넬로페(Penelope의 베 짜기’ 은유
2. 사유함의 현상학(The Phenomenology of Thinking
1 정신(The Mind의 세 가지 기능
2 사유함의 부산물로서 판단과 양심
3. 사유함(Thinking과 행위함(Acting의 상호연계성
1 근대적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에 일어나서는 안 되는 사건이 다시금 재현되었다.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한달음에 달려 나온 시민들과 190인의 의원들 덕택에 12월 4일 1시 1분경 비상계엄해제요구 결의안이 가결되어 5시 4분경에 4시 30분에 있었던 임시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가 의결되었음이 발표되었으나, 그 6시간 사이에 국가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범야권은 1차 탄핵소추안을 공동 발의하였으나 여당은 탄핵 반대 및 표결 불참을 당론으로 정했고, 결국 정족수 미달로 투표 불성립이 선언되었다. 그러자 시민들은 매서워진 추위에도 거리로 나와 탄핵을 촉구하였고, 덕분에 이어진 2차 탄핵소추안에서는 재석 300표, 가 204표, 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탄핵안이 가결되었다. 이후 피의자로 입건된 현직 대통령에 대해 공조본은 서울서부지법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2025년 1월 3일,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으나 경호처의 반발로 실패하였고, 같은 달 15일, 재차 발부받은 체포영장의 집행에 성공하였으며, 같은 날 피의자 측이 서울중앙지법에 신청한 체포적부심은 다음 날 기각되었다. 그리고 1월 19일에는 서부지법에서 헌정사 최초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었다. 그러자 그 지지자들은 서부지법을 습격하고 경찰과 기자들을 향하여 폭력행위를 자행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어째서 일어났을까? 그리고 어떻게 더 큰 비극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일까? 여태까지 일어났던 상황들을 무미건조하게 되짚는 것만으로는 이러한 질문에 응답할 수 없다는 것이 명약관화하다. 이러한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상황의 흐름과 맥락, 배경을 되짚는 데서 더 나아가, 그 상황 속에 있었던 사람들을 주목해 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 상황은 매우 정치적인 상황이고, 그 상황 속에 있었던 사람들 역시도 매우 정치적인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이 상황과 사람들을 정치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도구로서 매우 적실하게 제시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