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양장
저자 장인용
출판사 그래도봄
출판일 2025-02-28
정가 22,000원
ISBN 9791192410487
수량

추천의 글
책을 펴내며

제1부 뜻이 바뀌어 새로이 쓰이는 말
옛날 경제와 요즘 경제
사회와 종교 사이
아내, 마누라, 집사람, 부인
아버지-아저씨, 어머니-아주머니
형, 언니, 누나, 동생, 동기
서방, 도령, 올케
깡통과 깡패
과거, 현재, 미래
‘아래 하’를 넣어 높이는 말
외국 국가 이름과 한자 표기
‘민주, 국회, 법원, 통상’과 같은 말

제2부 뜻이 역전되는 말
숙맥, 얌체, 분수, 주책
잘못 읽는 사자성어 ①: 주야장천, 일사불란, 삼수갑산
잘못 읽는 사자성어 ②: 풍비박산, 옥석구분, 동고동락
‘~없다’의 조어법 ①: 한 단어로 굳어진 것들
‘~없다’의 조어법 ②: 한 단어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
‘~없다’의 조어법 ③: 원래 의미가 변하는 경우
우연히와 우연찮게
재미와 맛과 멋

제3부 유래를 알면 더 재밌는 말
닭과 꿩을 닮은 식물들
배다리, 널다리, 섶다리
물고기 이름 ①: 오징어, 고등어
물고기 이름 ②: 붕어, 잉어, 상어
물고기 이름 ③: 조기와 굴비, 명태와 북어
꽃, 꼬치, 꽃게, 고드름
김치, 짠지, 깍두기
상추, 시금치, 가지, 참외, 호박
과일 이름
나무 이름
색깔 이름
사이다, 웨하스, 메리야스

제4부 한자로 바꾸거나 구별하여 오해를 부르는 말
모래내와 가재골, 사천교와 가좌동
그 사과는 심심하지 않다
한자 동음이의어 ①: 감수와 개정
한자 동음이의어 ②: 지명과 연패
형벌에서 유래한 말
‘물’이 앞에 들어가는 말
음을 다르게 읽는 한자어
가타부타, 알록달록, 갈팡질팡

제5부 우리말이나 진배없는 말
여하, 하여, 역시, 물론
도대체와 대관절
만약과 가령
가방과 구두
냄비
순대와 사돈
그대가 그녀에게
한자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한 것 ①: 시시하다, 쓸쓸하다
한자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한 것 ②: 으레, 나중, 잠깐, 조용히
한자어 같지만 우리말인 말
한자와 우리말이 섞인 어휘

제6부 공부가 쉬워지는 말
“말에 온기가 돌고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_김진해 경희대 교수, 《말끝이 당신이다》 저자
“어휘의 방대함은 ‘사전’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_김철호 《언 다르고 어 다르다》 저자
“우리말 실력이 걱정이라면 꼭 읽어보기 바란다.” _안광복 철학교사, 《A4 한 장을 쓰는 힘》 저자

“그 단어는 어디서 왔을까?”

어휘의 미묘한 차이를 포착하고 적재적소에 낱말을 활용함으로써
문해력, 어휘력, 표현력을 한층 더 높이는 어원의 힘!
_언어적 소양을 넘어 삶의 소통과 공감으로!

한국어를 잘 안다고 생각해 언어(국어 공부가 필요 없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어휘와 표현, 그리고 문화적 맥락이 담겨 있는데도 말이다. 특히, 한국어는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외래어와 한자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 외래 종교로 유입된 불교의 영향도 우리말에 깊게 새겨졌고, 한글 창제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또한 근대에 들어서는 일본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는 일본의 영향이 극대화된 시기였으며, 해방된 이후로는 미국의 문물과 영어가 물밀듯이 들어왔다.

이러한 언어의 ‘감염’은 오래된 단어를 잊히게 하는 동시에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냈다. 몇 해 전 온라인에서 “‘심심한 사과’라니, 난 하나도 안 심심하다.”, “사흘간 연휴면 4일 쉬는 것인가요?”, “고지식은 지식이 높다는 뜻?” 등이 회자되며 문해력 저하 논란으로 뜨거웠다. 미묘한 어휘 차이 또는 문장의 의미를 유연하게 읽어내지 못해 생기는 오해나 공감의 결여는 세대 간의 문제를 넘어 현대 사회 전반에 걸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가져야 할 언어적 소양은 단순히 말하기와 쓰기를 넘어 공감과 소통 능력을 높이고, 세상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무심코 사용하는 일상의 단어들에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역사, 문화, 그리고 사람들의 삶을 고스란히 느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