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제1장 지구촌 인류에게 일자리 사냥이 시작되었다
1. 대구, 청룡의 한 해, ‘청년 일자리’가 넘쳐나기를!
2. 인류 최초의 직업은 산파(産婆, Midwife였다!
3. 달빛에 물든 지구촌의 신화를 찾아서
4. 지구촌, 하루의 시간 변화와 인류의 이동 생겨나다
5. 혹독한 기후변화는 낙원 아프리카를 떠나게 했다
6. 대재앙이 인류를 사멸케 하는 궁지로 몰기까지
7. 기후변화가 인류를 지구촌으로 몇 번이고 흩뿌렸다
8. 한반도에서 돌 주먹도끼를 만들었던 선인들은?
제2장 지구촌에 인류 출현 이후 줄기도 했을까?
1. 지구상 현 인구가 이제까지 살았던 사람보다 많다고?
2. 지구촌엔 5번이나 멸종이 있었고, 6번째는 인간을 대상으로?
3. 인류사에서 선인들은 어떻게 저출산을 극복했을까?
4. 로마제국의 저출산 망국병에 대한 치유 처방전은?
5. 성군 세종대왕 때, 사람고기 먹은 이야기와 소가 웃는 일까지
6. 세종의 충격요법으로 저출산을 날려 보냈는가?
7. 노예제가 생산적이라는 미국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8.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은 어디로 가나?
제3장 엄마 찾아 3만 리, 일자리 찾아 3만 리
1. ‘엄마 찾아 3만 리’가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2. 부다 가야 제철 유목민, BC 350년경 김해에 자리 잡기까지
3. 인류 역사에서 인간의 일자리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4. 남한이 일본 미래의 ‘테스트 베드(Test Bed’가 되었다
5. 미국의 ‘거대한 체스판’에 일본이 훈수로 한국 졸(pawn을 둔다
6. 일자리 복지(job welfare, 정치구호만으로 마련될까?
7. 오늘의 실행만이 내일의 일자리(먹거리를 만든다
8. 일자리로 인한 ‘소득의 양극화’는 상상을 초월!
제4장 미래의 일자리는 어디서 어떻게 생겨날까?
1. 석유탐사 ‘피범벅으로 채워지리라’란 영화를 국민에게 보여주기
2. 축복과 저주가 눈앞에 놓였으니, 오늘날 우리의 선택이다
3. 소형 모듈 원자
미래를 읽는 눈, 일자리의 변화를 예측하다
『미래 일자리와 먹거리』
『미래 일자리와 먹거리』는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우리가 마주할 일자리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저자는 과거의 직업 구조와 현재의 경제 흐름을 분석하며, 미래의 일자리가 제로섬 게임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래 사회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를 함께 고민한다.
또한, 이 책은 단순한 통계나 수치에 그치지 않고, 문화, 역사, 철학을 아우르는 통섭적 접근으로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를 내다보며, 젊은 세대에게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모든 이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