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돌아오지 못한 독립운동가들, 그 청춘의 초상
1. 고종의 통역도 맡았던 ‘신여성’, 조선의 앞길에 등불을 켜다
- 미국의 웨슬리안대학에 입학한 28살 김란사
2. 자신에게 엄격했던 반듯한 청년, 미국 최초의 한인촌을 세우다
- 미국에서 공립협회를 창립한 27살 안창호
3. 조선인 1호 볼셰비키 혁명가, 아무르강에 혁명의 꽃으로 지다
- 33살에 처형당한 사회주의자 김알렉산드라
4. 샌프란시스코에서 울린 3발의 총성, 일본의 앞잡이를 처단하다
- 미국인 더럼 스티븐스를 저격한 32살 장인환
5. 세 발의 “탕, 탕, 탕!”, 세 번의 “코레아 우라!”
- 하얼빈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30살 안중근
6. 이토가 처단되었으니, 을사오적을 처단하리라
- 매국노 이완용을 비수로 찔러 치명상을 입힌 22살 이재명
7. 감시 대상 ‘12310’번 의열단원의 찬란하고 슬픈 독립투쟁
-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한 26살 김익상
8. ‘영웅도 신도 공주도 아니었던’ 10대 독립운동가의 ‘불멸의 순수’
- 독립 만세운동을 하다 옥사한 18살 유관순
9. ‘동대문 철물점 홍길동’, 수백 일경과 벌인 전설의 총격전
-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34살 김상옥
10. 황해도를 뒤흔든 투사, ‘수탈의 첨병’을 응징하다
- 동양척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에 폭탄을 투척한 34살 나석주
11. ‘대한독립’과 결혼한, 조선이 낳은 ‘혁명 여걸’
- 고문당한 몸을 추슬러 미국으로 유학간 35살 김마리아
12. 일제의 압제와도 싸우고, 참혹한 궁핍과도 싸우다
- 홀로 두 아이를 키우며 독립운동을 하던 33살 박자혜
13. ‘신일본인’에서 ‘독립투사’로, 짧고 강렬한 반전의 삶
- 일왕에게 수류탄을 던진 32살 이봉창
14. ‘‘중국 백만 대군이 못한 것’을 해낸 스물넷 청년의 ‘의거’
- 훙커우 공원 폭탄 의거를 수행한 24살 윤봉길
15. 함정수사에 걸려든 미완의 거사, 상하이 ‘육삼정 의거’
- 주중 일
대한독립에 바친
뜨겁고 푸른 생의 한가운데!
유관순 18살, 이재명 22살, 윤봉길 24살, 안중근 30살, 이봉창 34살…
독립운동의 빛나는 순간들,
그 시간 속의 독립운동가들은 2030 청춘이었다!
100년 전에 찍은 한 장의 사진으로 남은 ‘청춘의 초상’이 들려주는 뜨겁고 강렬한 대한의 독립운동 이야기. 우리에게는 반백의 노구와 주름진 얼굴의 낡은 흑백사진 속 얼굴로만 기억되고 있는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조국의 독립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찬 아름답고 푸른 청춘의 시절이 있었다. 10대의 똘망똘망한 소년 김규식, 학교를 세우고 학동들을 가르치던 30살의 ‘선생님’ 김구, 이완용을 처단하려 시도한 22살의 이재명, 상하이 의거를 성공시킨 24살의 윤봉길 등, 독립운동가들의 2030 시절의 한때를 포착한 단 한 장의 사진과 함께 읽는 색다른 근현대사 책.
단 한 번의 시간, 청춘의 시절을 기억하며
‘젊은 날엔 젊음을 모르고’ 산다.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지난날을 돌아보며 비로소 ‘그땐 참 젊었었구나’ 하고 느끼는 법이다. 그렇다.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인생에 한 번은 빛나는 청춘의 시절이 주어진다. 대한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친 독립운동가들의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에게는 반백의 노구와 주름진 얼굴의 낡은 흑백사진 속 얼굴로만 기억되고 있는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조국의 독립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찬 아름답고 푸른 2030의 시절이 있었다.
모두가 기억하는 독립운동의 빛나는 순간들, 우리의 심장을 무겁게 강타하는 순간들을 만들어낸 수많은 주역들이 있다.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이봉창 의사, 유관순 열사 같은 유명한 독립운동가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런 의거나 순국을 했을 때, 몇 살이었는지 우리는 기억하고 있을까?
홍커우 공원 도시락 폭탄 의거를 감행했을 때 윤봉길 의사는 24살이었다. 일왕의 면전에 폭탄을 던졌을 때 이봉창 의사는 32살이었다. 천안에서 만세를 부르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