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후대에 남기고 싶었던 최후의 기획이자
수백 권의 저작에서 뽑은 에센스 중의 에센스
한 권으로 이어령을 읽다
세상을 떠난 지 3년이 되어가지만 이어령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위대한 지성으로 살아 숨 쉬고 있다. 생을 마감할 때까지 끊이지 않는 호기심으로 물리적 세계와 정신적 세계를 넘나들며 사유했고, 그 결과를 수백 권의 책으로 남겼다. 『이어령의 말』은 이어령의 오랜 뜻이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령의 사유를 ‘사전화’하고자 하는 요청을 여러 차례 받았으나 때 이르다는 이유로 고사하고, 작고하기 7년 전쯤부터 수백 권의 저작 중 ‘이어령 말의 정수’라 할 만한 글을 추려 한 권으로 엮기를 바랐다. “그 한 권을 통해 후대의 독자들이 내가 평생 해온 지적 탐험을 쉽게 이해하면 좋겠다”라는 취지였다. 이 최후의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 회의와 선정 작업을 숱하게 거쳤고, 책을 완성하기까지 3년 가까이 걸렸다. 그리고 마침내 이어령의 결정판이라 부를 수
있는 이 책이 탄생했다. 자기만의 언어로 사유하고, 방대한 저작물을 남긴 작가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어령은 이 한 권의 책으로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났다.
그의 삶에서 나의 삶으로
짧은 말에 눌러 담은 깊고 넓은 사유
이어령은 우리말을 깊이 사랑했다. 자기 안팎의 세계를 우리말이 지닌 소박함과 경이로움으로 묘사하며 평생 우리말과 우리 글에 혼을 불어넣었다. 이어령의 탁월함은 특히 짧은 글에서 잘 드러난다.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독자적이다. 이어령기념사업회를 맡고 있는 강인숙의 말마따나 “짧은 글이 사람의 내면을 흔들려면 함축에 깊이와 넓이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이 책에는 ‘자기 머리’로 생각하고 공부해온 사람만이 갖출 수 있는 깊고 넓은 사유가 마음, 인간, 문명, 사물, 언어, 예술, 종교, 우리, 창조라는 주제 아래 꾹꾹 눌러 담겨 있다. 어느 쪽을 펼쳐 보아도 간결한 호흡으로 막힘없이 읽어나갈 수 있는 글이 가득하다. 공간적 여유를 느끼며 글을 감상하도록 한 쪽에 글 한 토막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