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언어와 문자 6
1. 언어와 문자의 상호 관계 7
1 언어와 문자의 개념
2 언어와 문자의 기능
3 언어와 문자의 상호작용
2. 인류 최초의 언어 11
1 최초의 언어에 대한 이론
2 최초의 언어 형태
3. 언어와 문자의 출현 순서 15
4. 인류 최초의 문자 16
1 인류 초기의 문자
2 인류 최초의 문자의 용도
5. 언어와 문자의 차이 23
1 언어와 문자의 상호작용
2 언어와 문자의 특수 관계
6. 언어의 진화·발전 25
1 초기 언어의 특징
2 현대 언어의 특징
3 초기 언어와 현대 언어의 주요 차이점
4 언어의 진화·발전의 배경
5 현대 언어의 주요 어족(Family과 특징
6 현대 언어의 종류 및 사용자
7. 현대 문자의 종류 및 특징 36
1 알파벳 문자
2 표의문자
3 음절문자
4 아브자드(Abjad 문자
5 혼합 문자
6 기타 문자
8. 표의문자와 표음문자 41
1 표의문자와 표음문자의 정의
2 표의문자와 표음문자의 주요 차이
II. 중국어의 특징 48
1. 언어학적 특징 48
1 음운론적 특징
2 형태론적 특징
3 통사론적 특징
4 의미론적 특징
5 어휘적 특징
2. 사회언어학적 특징 74
1 다양한 방언(Dialect Language
2 표준중국어(普通話의 보급
III. 한자의 특징 84
1. 한자의 기원과 조자(造字 방법 85
1 한자의 기원
2 한자의 조자 방법
2. 한자의 변천 과정 94
1 한자 이전의 의사소통 수단
2 한자의 탄생과 변천
3. 한자는 왜 표의문자가 되었는가 103
1 알파벳은 왜 표음문자가 되었는가
2 한자가 표의문자가 된 주요 배경
4. 표의문자로서의 한자의 장점과 한계 108
1 한자의 장점: 조어(造語 능력
2 한자의 한계: 외래어 표기
IV. 효율적인 한자 학습법 118
1. 중국어 학습에 필요한 한자의 수 119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단어 중에 ‘객기客氣’라는 한자어가 있다. 사전에서는 ‘객쩍게 부리는 혈기나 용기’로 설명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객기 부리지 마.”와 같은 경고나 만류의 말에 자주 활용된다. 하지만 이 객기 부리지 말라는 말, 중국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不客。” 한자의 구성만 본다면 똑같이 ‘객기 부리지 말라’는 뜻이어야 할 텐데, 이 말은 주로 “천만에요.”, “사양하지 말고 편하게 행동하세요.”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동일한 한자어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표현, 과연 어떻게 생겨났을까? 그리고 이것은 한국인과 중국인에게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을까?
언어는 인간의 사고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대부분의 사유는 언어를 기반으로 전개되며, 이 언어를 활용할 때 우리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언어 자체가 가진 의미나 뉘앙스에 휘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과 글, 즉 언어는 한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는 단초가 될 수도 있고, 한 국가의 정서를 이해하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곧 ‘생각’을 배우는 일과 같고, 따라서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학습할 때 그 언어의 기원과 발전 과정, 변화의 특징을 두루 살펴본다면, 단순히 하나의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언어 문화권이 공유하는 보편 정서와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언어를 알면 생각이 보인다!
기원부터 살펴보는 ‘한자’와 ‘중국어’”
윤창준 교수가 새롭게 펴낸 『언어와 문자: 중국어와 한자』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중국어 학습법을 탐구하는 탁월한 교육서이다. 윤창준 교수는 우선 인류 최초의 언어와 문자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그 역사를 살펴보고, 언어의 기원을 이해하는 것이 언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해설을 시작한다. 나아가 그는 표의문자와 표음문자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이 각각의 문자 체계가 각 언어권의 문화와 사고 기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