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들어가며
역자의 말
이 책의 사용법
한방 15분류 차트
허실룰
한열룰
기혈수(氣血水룰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허(氣虛 혈허(血虛, 어혈(瘀血, 수독(水毒룰
육병위룰
설진룰
맥진룰
처방 방향성
한방용어 현대해석
128 처방
1 갈근탕
2 갈근탕가천궁신이
3 을자탕
── 4 결번 ──
5 안중산
6 십미패독탕
7 팔미지황환
8 대시호탕
9 소시호탕
10 시호계지탕
11 시호계지건강탕
12 시호가용골모려탕
── 13 결번 ──
14 반하사심탕
15 황련해독탕
16 반하후박탕
17 오령산
18 계지가출부탕
19 소청룡탕
20 방기황기탕
21 소반하가복령탕
22 소풍산
23 당귀작약산
24 가미소요산
부인과 3대 처방
25 계지복령환
26 계지가용골모려탕
27 마황탕
28 월비가출탕
29 맥문동탕
30 진무탕
31 오수유탕
32 인삼탕
33 대황목단피탕
34 백호가인삼탕
35 사역산
36 목방기탕
37 반하백출천마탕
38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39 영계출감탕
40 저령탕
41 보중익기탕
── 42 결번 ──
43 육군자탕
── 44 결번 ──
45 계지탕
46 칠물강하탕
47 조등산
48 십전대보탕
── 49 결번 ──
50 형개연교탕
51 윤장탕
52 의이인탕
53 소경활혈탕
54 억간산
55 마행감석탕
56 오림산
57 온청음
58 청상방풍탕
59 치두창일방
60 계지가작약탕
61 도핵승기탕
62 방풍통성산
63 오적산
64 자감초탕
65 귀비탕
66 삼소음
67 여신산
68 작약감초탕
69 복령음
70 향소산
71 사물탕
72 감맥대조탕
73 시함탕
74 조위승기탕
75 사군자탕
76 용담사간탕
77 궁귀교애탕
78 마행의감탕
79 평위산
80 시호청간탕
81 이진탕
82 계지인삼탕
83 억간산가진피반하
84 대황감초탕
85 신비탕
86 당귀음자
87 육미환
8
축농증이면서 마황을 복용할 수 있다면
갈근탕가천궁신이
갈근탕가천궁신이는 갈근탕에 천궁과 신이라는 2가지 약재를 추가한 처방이다. 약재 방향성 측면에서 신이가 있으면 이비인후과용, 갈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진통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이를 함유한 한방약은 갈근탕가천궁신이와 신이청폐탕이 있다. 룰을 통해 도출된 소견은 신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이비인후과용 이라는 힌트 이외에는 갈근탕과 동일하다. 곧 허실 스코어 상 약간 튼튼한 타입(실증용 처방인 것이다. 계피가 있으므로 쉽게 상처 입는 상태(기역에도 유효하며 얼굴은 약간 붉기도 하다. 특별한 복부소견은 없다. 복벽 긴장도(복력는 약간 단단하며, 적어도 연약하지는 않다.
인삼 함유 시호제
일반적인 질환이 장기화될 때
소시호탕은 소양병기의 왕이라 할 수 있다. 소시호탕에 오령산을 추가한 것이 시령탕, 반하후박탕을 추가한 것이 시함방이다. 시호제와의 합방으로서 엑스제가 나와 있는 것은 모두 소시호탕과의 합방이며, 대시호탕과의 합방이 아니다. 소시호탕에는 한방엑스제 중 유일하게 경고사항이 적색으로 첨부문서에 적혀 있다. 그런데 소시호탕과의 합방에 해당하는 시령탕, 시박탕, 시함탕에는 이 경고사항이 적혀 있지 않다. 아무래도 신기한 일이다. 간질성폐렴은 언제나 주의를 기울여야만 할 중대한 부작용이다. 약 복용 후 마른기침이 생겼다면 항상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로 중증으로 발전하는 빈도는 적다. 복용하기 힘들다고 느낀 환자가 스스로의 판단으로 복용을 중단하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적게 보인다고 말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만약 정말 그렇다면 환자가 복용하고 싶지 않다고 할 때 복용을 중단하게 하는 스탠스 만으로도 문제가 없는 것 아닐까 생각한다.
꽤나 맛이 없다
찬찬히 길게 복용하면
체질개선용 처방이 된다
17개 약재로 구성된 한방약이다. 구성약재수가 많은 처방은 체질개선용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분류차트 상 시호제에 해당한다. 또한 황련과 황금이 함유되어 있어 사심탕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