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1 우리가 사는 고장
고장을 둘러싼 환경
우리 고장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을까요
고장의 지형을 이용하는 모습
내가 사는 곳은 촌락일까요, 도시일까요
남는 시간에 여가를 즐겨요
주제2 우리나라의 전통
살기 좋은 우리 한옥
우리나라의 대표 보양식, 삼계탕
오늘까지 이어져 온 조상들의 멋과 슬기
전통을 잇는 사람들
주제3 교통과 통신의 발달
옛날에는 버스 승하차를 돕던 사람이 있었대요
친환경적인 자동차의 등장
사물, 인터넷으로 연결되다
스마트폰 사용을 멈춰요
주제4 다양한 의식주 생활 모습
옛날과 오늘날의 옷차림
고장마다 특색 있는 김치
기후에 따라 독특한 집이 있어요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생활 모습
주제5 도구의 변화, 달라진 생활 모습
도구가 변화하였어요
밑바닥이 뾰족한 그릇을 어떻게 사용하였을까요
돌에서 기계까지, 농사 도구의 변화
실과 옷감을 만드는 도구의 변화
주제6 오늘날의 가족 모습
하늘과 물에서 결혼을 한대요
어린이날, 어버이날, 그리고 ‘입양의 날’
미래의 또 다른 가족, 반려 로봇
만나고 싶어도 만날 수 없는 가족이 있어요
독해는 모든 교과의 핵심 공부력!
비문학 독해 실력 향상으로 교과 공부력까지 튼튼하게!!
* 사회 영역 배경지식 확장과 비문학 독해력 향상
초등 사회 교과와 연계하여 권별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사회 이야기로 배경지식을 확장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통해 비문학 독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매체 정보를 분석하는 미디어 문해력 강화
우리는 각종 매체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언어 환경이 바뀐 만큼 매체가 쏟아내는 각종 자료의 정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도 독해의 중요한 영역입니다. 다양한 매체 자료를 바르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을 강화합니다.
* 심화 학습이 가능한 블렌디드 러닝 제공
독해 글을 읽다 보면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데 해결할 방법이 없었죠. 그래서 하루한장에서는 QR 코드를 통해 주제와 관련한 최신 기사와 영상 자료, 관련 도서 등을 연결해 두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심화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문해력이 중요해진 시대
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바로 미디어 문해력입니다. 오늘날 우리 아이들의 언어 환경은 매체와 분리해서는 생각할 수 없죠.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매체 이해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2022 수능부터는 국어영역의 선택과목으로 ‘언어와 매체’가 신설되기도 하였습니다. 글뿐만 아니라 영상, 사진, 그래프 등을 함께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루한장 비문학 독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속 자료들을 제공하고 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핵심을 뽑아내는 것이 경쟁력인 시대
중요한 글을 읽고도 핵심이 무엇인지 몰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실행하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으로 글자를 읽었을 뿐 제대로 독해하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딱딱하고 긴 글을 마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