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마르크스의 『자본』 길라잡이 (개정증보판
저자 김성구
출판사 나름북스
출판일 2025-03-14
정가 27,000원
ISBN 9791186036846
수량

개정증보판에 부쳐
저자 서문

『자본』 제1권 강의

『자본』 길라잡이
『자본』 제1권의 대상과 범위

제1권 제1부 자본의 생산과정
제1권의 서문들

제1편 상품과 화폐
제1장 상품
1. 상품의 두 가지 요소: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의 실체, 가치의 크기
2. 상품에 표현된 노동의 이중성
3. 가치형태, 즉 교환가치
1 단순한 개별적인 또는 우연한 가치형태
2 전체적인 또는 전개된 가치형태
3 일반적 가치형태
4 화폐형태
4. 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제2장 교환과정
제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1. 가치의 척도
2. 유통수단
1 상품의 변태
2 화폐의 유통
3 주화, 가치의 상징
3. 화폐
1 축장화폐(Schatzbildung
2 지불수단
3 세계화폐

제2편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1. 자본의 일반적 정식
2. 일반적 정식의 모순
3. 노동력의 판매와 구매

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5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1. 노동과정
2. 가치증식과정
제6장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제7장 잉여가치율
1. 노동력의 착취도
2. 생산물의 비례적 부분들에서의 생산물 가치의 표현
3. 시니어의 ‘최후의 1시간’
4. 잉여생산물
제8장 노동일
1. 노동일의 한계
2. 잉여노동에 대한 갈망, 공장주와 보야르
3. 착취의 법적 제한이 없는 영국의 산업부문들
4. 주간노동과 야간노동, 교대제
5.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14세기 중반~17세기 말의 노동일 연장을 위한 강제법
6.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강제법에 의한 노동시간의 제한, 1833~1864년의 영국 공장입법
7.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영국의 공장입법이 타국에 미친 반작용
제9장 잉여가치의 율과 총량

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0장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제11장 협업
제12장 분업과 매뉴팩처
1. 매뉴팩처의 두 가지 기원
2. 부분노동자와 그의 작업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정수 『자본』,
한 권으로 끝내는 『자본』 전 3권 읽기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상가로 손꼽히는 마르크스의 유산 『자본』은 치밀한 이론과 과학적 분석으로 오늘날에도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는 저작이다. 마르크스주의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1970년대부터 마르크스 이론을 접하고 연구해온 김성구 교수는 『자본』과 마르크스경제학이 한국에서 세대를 이을 징검다리 역할을 자처하며 이 책을 썼다.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참담한 현실, 성장의 둔화와 고용의 위기, 부동산·증권 투기의 광풍과 금융공황, 양극화와 빈곤의 대물림, 이 절망적인 역사 속에서 미래에 희망을 품기 위해 마르크스경제학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저자는 오늘날처럼 여러 『자본』 번역본이 출간되어 있고 개론서와 안내서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현실에도 ‘제대로 된’ 길라잡이가 없음을 지적하며, 마르크스주의 논의와 관련된 학자 여럿을 이 책에서 구체적으로 비판, 평가하기도 했다.

저자는 올바른 길라잡이 역할을 위해 먼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이라는 이론사 전체 속에서 마르크스경제학과 『자본』의 위치를 살펴본다. 저자는 마르크스 시대 이후 자본주의가 역사적으로 크게 변모했더라도 현대자본주의 분석에서 마르크스의 경제학과 『자본』이 여전히 유효하고 충분하다고 본다. 이미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수정주의 논쟁이 있었고, 레닌의 제국주의론을 계승하는 구 정통파 마르크스주의가 자본주의 분석의 일반이론으로서 『자본』의 이론적 유효성을 견지하는 반면, 네오마르크스주의 논자들은 『자본』으로 현대자본주의 분석이 충분하다며 구 정통파의 독점자본주의론과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을 비판한다. 그러나 『자본』만으로는 독점과 국가개입을 분석할 수 없으며, 『자본』으로 오늘날 자본주의의 변화 양상까지 직접 해명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자본』을 학습하는 것은 자본주의 일반의 구조와 발전법칙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여기에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오늘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