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문 공부의 시작, 고전의 명문장
저자 이규일
출판사 솔빛길
출판일 2025-02-27
정가 18,000원
ISBN 9788998120740
수량
머리말

제1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2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3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4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5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6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7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8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9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0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1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2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3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4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5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지식

제16과
제1절 단문 읽기
제2절 문장 이해
제3절 한시 감상
갑골문과 중국 문화
중국 문화
책 속에서

제1절 단문 읽기

01
醉翁之意不在酒在 乎山水之間也.
취옹지의부재주 재호산수지간야

「醉翁亭記」취옹정기

어휘 설명
1 醉翁(취옹 : 술 취한 늙은이 | 意(의 : 뜻, 생각
2 山水(산수 : 자연 경관

어법 설명
在乎(재호 : ~에 있다
所重者在乎色樂珠玉(소중자재호색락주옥 중히 여기는 바가 여색의 쾌락과 주옥에 있다.

우리말 해석
취옹의 뜻은 술에 있지 않으며 산수의 경치에 있다.

해 설
「취옹정기」 : 북송의 문인 구양수(歐陽修, 1007~1072가 권력 투쟁에 휘말려 저주(지금의 안휘성로 좌천되었을 때 지은 산문. 구양수는 당시 낭야산의 정자에 올라 저주의 아름다운 풍경을 자주 감상했는데 스스로 취옹(醉翁, 술 취한 늙은이이라는 호를 짓고 그 정자를 취옹정이라 불렀다
-본문, 153~154쪽

제2절 문장 이해

01 정성공(鄭成功
台灣, 福建海中島, 荷蘭紅毛人居之. (중략
태만, 복건해중도 하란홍모인거지
荷蘭築城二, 曰赤嵌, 曰王城 其海口曰鹿耳門.
하란축성이 왈적감, 왈왕성 기해구왈녹이문
荷蘭人恃鹿耳門水淺不可渡, 不爲備.
하란인시녹이문수천불가도, 불위비
成功師至, 水驟長丈餘, 舟大小銜尾徑進.
성공사지, 수취장장여, 주대소함미경진.
『淸史稿·鄭成功傳』
청사고 정성공전

어휘 설명
1 福建海(복건해 : 지명. 중국 동남 지역의 해역 | 島(도 : 섬
2 荷蘭(하란 : 네덜란드 | 紅毛人(홍모인 : 당시 서양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
居(거 : 거하다
3 築城(축성 : 성을 쌓다 | 赤嵌(적감 : 지명. 적감성 | 王城(왕성 : 지명. 왕성
4 海口(해구 : 해안선이 내륙 쪽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 | 鹿耳門(녹이문 : 지명
5 恃(시 : 믿다 | 淺(천 : 얕다 | 渡(도 : 건너다
6 備(비 : 대비하다
7 成功(성공 : 인명. 정성공 | 師(사 : 군대 | 至(지 : 이르다
8 驟(취 : 몰려들다 | 長(장 : 물이 불다. 漲(창과 같다. | 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