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라는 세계,
소녀를 이루는 세계에 대한
눈부신 이야기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은, 한 아이의 세계에 온 마을이 담겨 있다는 말이기도 하지 않을까.
2021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선정작 《사라지기 전에 단 하나의 이야기를》에서 주인공 ‘미소’를 비롯해 사람들 모두가 손에 쥐고 있는 각자만의 이야기를 풀어냈던, 《아이의 슬픔과 기쁨》(공저에서는 아이가 느끼는 외로움을 올올이 섬세하게 꿰어냈던 서연아 작가의 새 작품은, 소녀를 주인공으로 한 세 편의 연작 소설이다.
“내 진짜 가족은 포피뿐이라고. 정말로 하고 싶었던 말은 그거였다. 포피는 세상에서 가장 좋은 사람이었다.” _<포피와 나>
첫 작품 <포피와 나>는 열다섯 살 소녀 ‘미카’와 노인 ‘포피’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둘은 미카가 아홉 살일 때 처음 만났다. 마트에서, 미카가 초콜릿을 하나 슬쩍할 때. 미카의 엄마는 초콜릿 같은 건 하나쯤 가져와도 된다고 말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런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사 온 동네에서 처음 학교에 가던 날 미카의 엄마는 미카를 데리러 가지 않았다. 집에 갈 방법을 알지 못했던 미카는 무작정 걷는다. 큰길을 따라서, 보행 신호등이 가장 먼저 켜진 횡단보도를 건너서, 아무 생각 없이. 포피가 그런 미카를 발견하면서 둘은 두 번째로 만난다.
곧 둘은 친구가, 가족이 된다.
미카에게는 친구가 없었다. 제대로 된 엄마가 없었다. 약물 중독이었던 엄마는 미카를 제대로 돌봐주지 않았다. 미카를 사랑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방치했다. 학교에 데리러 가지 않았고, 준비물을 챙겨주지 않았고, 교복을 빨아주지 않았다. “더러운 교복을 입고 등교한 친구와 조회 시간에 나란히 서 있고 싶어하는 아이는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그것은 포피도 마찬가지다. 포피는 시드니에서 이 작은 동네로 이사 왔다. 지난 과거로부터 도망치듯이, 혼자. 둘의 관계는 가장 가까운 사이라는 비유적인 의미에서 가족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포피가 엄마 역할을, 미카가 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