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1부 내 삶을 치유해줄 사이코매직
1. 자신의 성이 가치 없다고 느끼는 여성
2. 소심한 여성
3. 자신의 성이 가치 없다고 느끼는 남성
4. 조루
5. 정자에 대한 혐오감
6. 근친상간의 욕구
7. 어머니와 딸의 공의존
8. 어머니와 아들의 공의존
9. 아버지와 아들의 공의존
10. 아버지와 딸의 공의존
11. 자녀의 삶에 과하게 끼어드는 어머니
12. 전화로 비판하는 어머니
13. 낙태로 인한 슬픔
14. 고향에 대한 향수
15. 새로운 장소에 적응하지 못함
16. 부모의 불화
17. 피부염
18. 나보다 더 강한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 끌려다니지 않는 법
19. 액운
20. 광장 공포증
21. 폐소 공포증
22. 폭식증
23. 거식증
24. 실패한 삶
25. 금연
26. 헤로인 중독
27. 알코올 중독
28. 중독자의 파트너
29. 아이의 죽음
30. 죽은 형제자매의 뒤를 이어 태어남
31. 다른 사람의 감정 돌려주기
32. 아이의 슬픔 놓아주기
33. 해로운 생각 버리기
34. 아버지의 부재(여성의 경우
35. 아버지의 부재(남성의 경우
36. 억압된 분노 표현하기
37. 고통스러운 비밀
38. 지배적인 부모
39. 다정하게 어루만지는 법
40. 공격적인 말 멈추기
41. 예술을 할 수 없는 예술가
42. 생리 불순
43. 사랑하는 사람에게 느끼는 질투
44. 광적인 질투
45. 실패 노이로제
46. 급격한 변화를 감당할 힘 얻는 법
47. 주의 산만
48. 빼앗긴 어린 시절
49. 가족력이 있는 병
50. ‘꼬리표’ 떼기
51. 불임
52. 만년 싱글
53. 사마귀
54. 도벽
55. 죄책감의 엄습
56. 겁이 많은 남성
57. 발기 부전
58. 말더듬증
59. 침대에서 일어나기 힘듦
60. 자기 신뢰 회복하기
61. 지적인 고통
62. 성적 학대
63. 상사병
64. 경제적 두려움
65. 늙는 것에 대한 두려움
66. 실
단 한 번의 행위로 내 인생을 치유할 수 있다면?
세상이 금지했던 혹은 강요했던
모든 족쇄와 굴레를 벗어던지라!
컬트 영화의 대가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 감독이 말하는
무의식과의 화해 기술
인간에게는 반복적인 고통의 기원이 되는 트라우마가 있다. 우리가 흔히 받는 정신분석은 무의식이 보내는 메시지를 이성적인 담론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를 치유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사실을 말하자면, 무의식적 충동은 오로지 그것이 충족되었을 때만 사라진다! 따라서 정신분석과 반대로, 사이코매직은 무의식에게 이성적인 언어를 가르치는 대신 이성에게 무의식의 언어를 다루는 법을 가르친다. 이성의 언어인 말뿐 아니라 행동, 이미지, 소리, 냄새, 미각 또는 촉각 등의 무의식적 언어를 치유에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늙는 것이 두렵다면 노인 분장을 한 채로 종일 돌아다니라. 그러면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내가 설 자리가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만약 여성이라는 자신의 성이 가치 없다고 느껴진다면 질 안에 금화를 삽입한 채 생활하라. 남성의 바지 속에 있는 그것보다 훨씬 더 가치 있는 것을 내 몸에 지니고 있다는 만족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무의식 깊숙한 곳에 숨겨져 있던 두려움이나 콤플렉스, 트라우마 등을 직접적인 행위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
사이코매직에는 크게 네 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예언을 은유적으로 실현해야 한다. 부모는 명령이나 금지와 함께 어떤 말을 아이의 기억에 새겨두는데, 아이의 기억 속에 새겨진 이러한 말은 나중에 예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예언은 어른이 되면 고통스러운 위협이 된다. 예언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언을 은유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즉, 위협을 회피하는 대신 위협에 완전히 굴복하는 것이다.
둘째,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일을 해야 한다. 가족은 사회 그리고 문화와 결탁하여 우리 안에 수많은 습관들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같은 종류의 음식을 먹고, 제한된 규칙, 생각, 감정, 제스처 및 행동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