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분열자의 산책 - 한국현대문학총서 18
저자 김재홍
출판사 문학수첩
출판일 2025-03-31
정가 17,000원
ISBN 9791193790915
수량

책머리에 ……7

제1부
분열자의 산책 혹은 일의적 시세계 _최근 여성시의 몇몇 양상 ……14
‘나누기’와 동시대인 되기라는, 하나의 과업 _이소호론 ……33
신은 아무것도 금하지 않았다 _김희준론 ……49
고독은, 크로노스의 뒤통수를 부여잡고 _이경림론 ……69
어느 윤리주의자의 우이의 시학 _전동균론 ……85

제2부
‘새로움’과 ‘사라짐’의 역설 _화이트헤드와 매슈 아널드의 「포기」 ……106
주름진 세상, 주름진 시 _들뢰즈와 스테판 말라르메의 「벨기에 친구들을 추억함」 ……114
“해부대 위에서의 재봉틀과 우산의 우연한 만남처럼”
_푸코와 로트레아몽의 『말도로르의 노래』 ……122
“덧없는 것, 사라지는 것, 우연적인 것” _하버마스와 샤를 보들레르의 「인간과 바다」 ……130
“환원될 수 없는 암호화된 독특성” _데리다와 파울 첼란의 「하나 속에」 ……140
“무한의 ‘진정한 철학’을 세우는 길” _바디우와 페르난두 페소아의 「바다의 송시」 ……150

제3부
‘생성’과 ‘긍정’의 비대립적 일의성 _김종태의 시세계 ……162
‘두 가지’ 분절의 양상 _유자효 시의 미적 특성에 관한 시론 ……194
다른 태어남을 준비하고 있을 _금은돌 유고시집 『그녀 그』에 부쳐 ……205
‘10회말 투아웃’과 끝내기 만루 홈런 _2000년대 시와 야구 ……217
깊이와 넓이의 시 _정지용 「백록담」, 백석 「국수」, 정호승 「산산조각」 ……234

제4부
‘놀라운’ 저항과 ‘간절한’ 창작 _천양희의 『새벽에 생각하다』와 김택희의 『바람의 눈썹』 ……250
한겨울을 견디는 낭만자객들의 온기
_김왕노의 『도대체 이 안개들이란』과 정철훈의 『가만히 깨어나 혼자』 ……261
첫사랑은, 하나에서 무한으로 _이재무의 『한 사람이 있었다』 ……270
‘간격’ 사유하기 혹은 ‘외로움’의 탄생
_김경미의 『당신의 세계는 아직도 바다와 빗소리와 작약을 취급하는지』 ……279
‘한 사람’을 위한, ‘한 사람’ _이은규의 『무

분열에서 창조를 엿보고, 탄생에서 종말을 포착하다!

현대 문학의 시대정신을 반영한 작가와 작품들을 탐색하고 새로운 화두를 제시하는 문학수첩의 ‘한국현대문학총서’ 열여덟 번째 책 『분열자의 산책』이 출간되었다. 2003년에 시인으로 등단(중앙일보 시 부문한 이래 꾸준히 창작활동을 이어오며 2022년(광남일보 평론 부문에도 평론가로 문학의 활동 폭을 넓힌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김재홍의 평론집이다. 시집과 산문집에서 인식의 깊이와 대상의 이면을 꿰뚫는 예리한 시선을 선보였던 그는 평론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2025년부터는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부회장으로 활약을 하고 있다. 창작과 평론의 이질적인 영역에서 활동하는 그는 19~20세기 현대 철학자들이 주목한 현대 시를 살핀 글부터 최근 여성 시인들의 시적 양상을 거쳐 천양희 등 완숙한 시인들의 최근 10여 년 동안 발간된 시집들의 작품을 살펴본다.

저자가 이번 평론집에서 키워드로 삼은 단어는 바로 ‘분열자’이다. 그가 말하는 분열은 병증이 아닌, “물리법칙과 생명의 본질에 부합하는 열린 체계로서 인간의 가능성을 표상”한다. 저자는 “분열되지 않으면 창조는 없다”고 단언하면서 절대적 진리와 고착된 규범 안에서 태어날 수 없는 문학의 숙명을 환기시킨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문학의 탄생이 곧 종말(데리다이 되게끔 하는 순간의 기록들”이다.

제1부는 최근 여성 시인들의 시적 양상을 다룬 글들과 중견임에도 날카로운 시적 감각을 보여 준 시인들의 세계를 들여다본 평론을 실었다. 저자는 난해시를 운위하는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들의 언어를 개척하고 있는 이들의 시 정신에 주목한다.
제2부는 현대 철학자들이 주목한 현대 시를 살핀 글들을 모았다. 매슈 아널드를 주목한 화이트헤드, 말라르메를 다루었던 들뢰즈, 푸코와 로트레아몽, 하버마스와 보들레르, 데리다와 첼란, 바디우와 페소아 등 저자는 철학자와 시인의 관계에서 철학과 시적 사유가 떨어질 수 없는 친연성을 증명한다.
제3부는 비대칭·비대립의 관점에서 저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