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 나 자신으로 돌아가는 여정
1장 뇌는 어떻게 관계를 설계하는가
관계의 문제는 반복된다 |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 | 생애 초기의 트라우마 | 충족되지 못한 아동기의 욕구 | 모든 아이에게는 정서적 내면 세계가 있다 | 우리의 몸과 뇌는 타인을 필요로 한다 | 조건화된 스트레스 반응들 | 뇌를 변화시키면 관계가 바뀐다 | [애착 회복 연습 ①] 정서적 안전 및 안정 체크리스트
2장 나에 대한 이해가 모든 관계의 시작이다
본연의 모습 이해하기 | 내 몸과 신체적 욕구를 충족한다 | 잠재의식 인식하기 | 내 안에 존재하는 직관의 장소 | 내면 치유 여정 | 진정한 욕구의 충족 | [애착 회복 연습 ②] 진정한 욕구에 관한 체크리스트 | 몸을 치유하다 | 신체 의식 점검 | 마음 강화 훈련 | 의식 점검 | 진정한 ‘나’는 심장에 산다
3장 관계의 문제는 같은 패턴을 반복한다
외상성 애착의 굴레 | 아동기를 재현하려는 충동 | 신경계 기초 수업 | 사회적 상태에 오래 머무르기 | 지각 시스템의 오류 | 신경계의 스트레스 반응들 | 신경계가 자각하게 만드는 방법 | [애착 회복 연습 ③] 신경계 체크리스트
4장 내 몸을 파악하고 안정감을 찾는 법
우리의 몸과 뇌는 상처를 기억한다 | 누구에게나 (상처 입은 내면아이가 있다 | (상처 입은 내면아이를 만나다 | 상처 입은 내면아이 관찰하기 | 당신의 조건화된 자기 | [애착 회복 연습 ④] 조건화된 자기 평가
5장 관계 유형을 결정짓는 내 안의 내면아이
몸을 인식한다는 것 | 감정은 몸에서 시작된다 | 내 몸을 의식하는 여정 | 내 몸 안에 오롯이 존재하는 법 | 안전감을 위한 영양 섭취 | 몸을 진정시키는 수면 | 움직임의 방식 | 에너지의 균형을 잡는 법 | 정서 반응을 조절하는 도구 | 타인과의 경계선
6장 내 안의 상처에서 벗어나 현재를 산다
잠재의식이 꾸며낸 이야기들 | 진정한 모습과 되고 싶은 모습 | 잠재의식이 현실을 만든다 | 나를 보호하기 위
“나를 지치게 하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영혼을 건강하게 하고 새로운 희망을 찾게 해줄 책.”
― 김대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
★ 전 세계 21개국 출간
★ 440만 구독자의 심리 멘토
★ 30일 관계 일기 PDF 부록
왜 내 관계는 같은 패턴으로 불행해질까?
몸과 뇌, 마음의 연결을 통해 들여다본 관계 회복 가이드
우리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면서 때때로 타인의 말에 휘둘려 원하지 않는 선택을 하기도 하고, 사랑에 빠져 다른 사람의 열정에 휘말려 나답지 않은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나이를 먹으며 예전보다 사람 보는 눈이 생겼다고 믿지만, 여전히 내면의 경고를 무시하고 나와 맞지 않는 사람을 또 만난다. 그러다 관계가 소원해지면 대개 상대방에게서 원인을 찾고 비난하기를 반복한다.
애당초 관계란 내가 의도해서 형성된 것이라기보다는 직장, 학교, 심지어 가족에 이르기까지, ‘우연히’ 찾아온 혹은 ‘운명’ 지어진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처럼 관계에서 자신의 능동적인 역할을 인식하기란 어려우며 본능적으로 특정한 이유에서 특정한 사람들을 택한다는 사실 또한 깨닫기 어렵다. 하지만 대다수의 관계는 누군가가 내 마음의 욕구를 깨어나게 했기 때문이 아니라 나조차 깨닫지 못하는 무의식적 욕구를 그가 충족해 주기 때문에 상대방과 가까워진다.
니콜 르페라 박사는 이 책에서 모든 관계는 우리 몸과 뇌, 그리고 마음의 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말하며 생애 초기 관계에 주목한다. 신경계가 특정 방식으로 활성화하고 연결되게 하는 존재는 태어나 처음 관계를 맺는 사람, 즉 부모상이다. 그들이 우리와 상호작용을 할 때 하는 행동(혹은 하지 않는 행동과 우리가 그에 대해 반응하는 방식이 우리의 뇌에서 패턴이 된다. 이러한 패턴은 뇌의 작동 시스템을 좌우하며 평생 동안 본능적 사고, 감정, 반응을 활성화하고 통제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안정감을 느끼는 생애 초기 대인 관계 습관과 패턴을 재현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