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련한 저널리스트가 소개하는 좋은 정치인의 조건
지은이 네이선 밀러는 15년간 신문사에서 근무한 언론인으로, 미국 연방 상원의 예산위원회에서 보좌관으로도 근무하며 미국 정치의 실제 현장을 경험한 당사자이기도 하였다. 퓰리처상 후보로 다섯 번이나 지명될 만큼 노련한 저널리스트였던 지은이는 총 18종의 책을 집필했다. 특히 미국 대통령의 전기, 미국 해군의 역사에 정통했던 그는 기존의 역사서는 물론이고 편지, 일기, 연설문, 연방 의회 회의록, 관계자의 증언, 인터뷰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해 《최악의 대통령》의 원서인 ‘Star-Spangled Men’을 출간했다.
이 책은 그간 미처 알려지지 않은 기록과 역사를 발굴해 미국 정치사의 숨겨진 행간을 밝힌다. 최악의 대통령으로 선정된 인물 개개인의 일생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는데, 특히 사인(私人으로서의 사생활과 공인(公人으로서의 행보를 구분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가령 6장의 앤드루 존슨과 10장의 리처드 닉슨이 대표적이다. 앤드루 존슨은 다른 대통령들과 달리 정규 교육을 받지 않은 채 대통령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 가난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독선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오직 자신만이 옳다고, 본인이야말로 가난한 백인들을 지키기 위해 백악관에 진출한 ‘평민’의 대표라 여긴 앤드루 존슨은 대통령으로서 공무를 집행할 적에도 국가의 여러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조건을 골고루 고려하지 못했다. 결국 그는 해방노예(흑인 해방민의 인권을 지지하는 북부주 다수의 의견을 무시했고, 남북전쟁 이후 미국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공화당과 협조하지 않았다. 결국 앤드루 존슨은 향후 1세기 동안 이어질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적 억압이라는 유산을 남겼다.
한편 리처드 닉슨은 거물급 정치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유권자를 기만하고 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전략을 체화하며 민주주의를 경멸하는 지도자로 거듭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닉슨은 반공주의의 투사를 자처하며 민주당 경쟁자들을 향해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