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불교철학 길라잡이 - 대원불교 학술총서 27
저자 이규완
출판사 운주사
출판일 2025-03-11
정가 20,000원
ISBN 9788957468678
수량

발간사?5
머리말?7

1. ‘있는 것’과 ‘보이는 것’ 19
?철학으로서 불교
고통스러운 마야(m?y??20
‘보이는 것’과 ‘있는 그대로’?24
철학으로서 불교?28

2. 성자들의 땅 33
?인도의 철학
‘인도’라는 발명품?33
인도의 배경?35
베단타(Ved?nta?36
상키야(Sa?khya?41
바이셰시카(Vai?e?ika?45

3. 방랑의 카리스마들 49
?슈라마나(?ramana 전통의 등장
『사문과경』?52
무신론과 유물론?54

4. 슈라마나의 붓다들 61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하다’?61
무인무연론(無因無緣論?63
거짓된 운명론?66
요소론?69
불가지론?73

5. 대웅(大雄과 고타마 붓다 75
자이나교(Jainism?75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hartha?80

6.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 89
중도(中道?90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92
자기 자신과 진리에 의지하라?96

7.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101
?무아
무아(無我, nair?tmya?103

8. 누가 윤회하는가??111

9. 네가 있으므로 내가 있다?123

10. 세계는 보이는 대로 존재한다 135
5위75법?138
식필유경(識必有境?141
삼세실유(三世實有?144

11. 아무것도 실재하지 않는다 147
만물은 공하다?148
궁극적 진리와 가설적 진리?151
자성(svabh?va의 부정?154

12. 파랑나비의 날개는 파란색일까? 159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160
눈이 보는가? 식이 보는가??165
종자(b?ja와 상속전변차별?168

13. 꿈꿀 때와 깨었을 때 171
‘극미는 실재하지 않는다’?176
세계는 꿈과 같다?179

14. 세계는 의식의 흐름 185
‘통 속의 뇌’?185
일수사견(一水四見?189
식의 변화?191
세 층위의 존재들?194

15. 죽은 후 영혼은 소멸

불교와 불교철학에 처음 관심을 가진 초심자들을 위한 안내서!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이어진 불교사상의 변천과 전래과정을 추적하여 불교철학의 주요 얼개, 불교사상의 면모를 보여준다.

1.
만물은 흘러가고, 우리는 같은 강물에 발을 두 번 담글 수 없다. 불교에서는 이렇게 매 순간 생멸하고 변화하는 흐름이 처음부터 그러하였다고 말한다. 무시(無始의 시작 이래로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 생멸하고 있다.
나도 변화하고, 세계도 변화한다. 어느 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렇다면 ‘나’와 ‘세계’는 무엇인가? 나와 세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무엇인가?
철학으로서 불교는 이 같은 물음에 대답을 모색해 온 사유의 역사를 포함한다. 붓다의 깨달음 이후 2,500년 동안 이어진 긴 전통은 ‘나는 누구인가?’ 혹은 ‘세계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대답들이 누적된 결과물이다. 물론 당연히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존재의 근원적 질문도 포함된다.

2.
불교에서 철학한다는 것은 ‘나의 등불로 밝히고, 나의 눈으로 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철학은 바르게 보는 것이며,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알고자 하는 지적 사유 체험이다. 하지만 ‘있는 것’과 ‘보이는 것’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참된 앎이란 바르게 보는 것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아는 것을 의미한다.
붓다의 교설에 따르면, 이 세계에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만물은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으며, 만물 간의 관계 속에서만 세계가 현상한다. 그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법이다. 즉 세계에 속하는 것은 어느 것도 실재하지 않으며, 만물은 모두 연기적 현상이다. 이것이 붓다가 본 ‘있는 그대로’의 세계이다.
붓다에게 ‘있는 것’은 ‘변화하는 현상’이고, ‘없는 것’은 ‘아트만’, 즉 ‘불변하는 궁극의 실재’이다. 붓다에게 이런 ‘아트만’은 ‘있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그것은 참된 진실이 아니다. 불교철학은 이 같은 붓다의 가르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