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자기결정성, 나로서 살아가는 힘 : 남들에게 휘둘리지 말고 당당하게 나 자신으로 살자
저자 김은주
출판사 쌤앤파커스
출판일 2025-03-19
정가 18,000원
ISBN 9791194246916
수량
프롤로그_행복하기로 선택한 사람들

Chapter 1.
행복의 조건들: 자기결정성 이론이 알려주는 행복의 핵심 조건들
자기결정성 전략 #1 자율성: 나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자기결정성 전략 #2 유능성: “행복을 위해 일은 적당히 할래요!”의 치명적 오류
자기결정성 전략 #3 관계성: 만남의 깊이도 능력입니다

Chapter 2.
내 인생의 주인은 나다_자율성
스스로 패를 펼쳐야 인생의 게임이 시작된다
자율성을 빼앗기면 다 빼앗긴 것이다
원하는 대로 다 해봐!
구조화된 자율성 지지적 환경을 통한 자율성 향상 전략 9가지

Chapter 3.
나의 일을 잘 해낼 수 있다고 지각해야 행복하다_유능성
“일과 행복 중 무엇이 우선이냐?”는 잘못된 질문이다
내일부터 한다고 미루기만 하면 정작 일할 오늘은 영영 오지 않는다
몰입을 통한 끈기의 힘
유능성 향상 전략 10가지

Chapter 4.
행복한 삶을 위한 가장 강력한 조건은 관계성이다_관계성
하버드대 연구가 알려주는 행복의 조건
우리가 맺는 관계의 총합이 곧 우리 삶이다
진정으로 성공한 삶
관계가 좋으면 생기는 일들
솔직함의 힘: 솔직한 사람에게 기회의 문이 열린다
인간관계 상호작용의 법칙
관계의 성공은 ‘나 자신’에게 달려 있다
관계성 향상 전략 7가지

Chapter 5.
나로서 살아가며 원하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매력과 능력의 러버블 스타
원하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공감
가장 친절한 자가 가장 끝까지 살아남는다
공감 향상 전략 6가지

에필로그_나 자신의 행복을 넘어서서, 축복의 통로로서의 나
참고문헌
왜 지금 자기결정성 이론인가?

오늘날의 사람들, 특히 청년들은 행복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추구하고 탐색하는 방법을 잊어버렸다. 깊이 성찰하고 진심으로 원하는 것을 마주하기보다 타인의 SNS를 기웃거리며 쉽게 행복의 기준을 찾아 좇기에 바쁘다. 성적, 학력, 재산 등의 대리지표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정체성이 허락하는 고정된 자리에 자기 가능성을 가둔다. 2024년 UN이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주관적 행복도는 143개국 중 52위로 중하위권, OECD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낮은 행복도가 사회적ㆍ문화적ㆍ경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간단히 말해 구조적인 문제라는 말이다. 하지만 사회 구조가 바뀌기만을 기다려야 할까?
《자기결정성, 나로서 살아가는 힘》에서 김은주 교수는 개인이 행복한 삶을 실현할 수 없게 하는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행복을 쟁취하고 이를 기반 삼아 성공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행복을 길어 올리는 힘으로 주목하고 연구해온 것은 에드워드 데시와 리처드 라이언이 정립한 ‘자기결정성 이론’이다. 이는 인간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라는 3가지 핵심 조건을 충족할 때, 만족감과 동시에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고 최적의 성장을 이룬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러한 충족감으로 사람은 외적 보상 없이도 자발적으로 몰입하고, 지속해서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사회의 보상과 처벌의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혁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내면적 욕구의 충족을 행복 실현을 위한 추동력으로 제안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돌파구가 된다.

지금 당장 행복해지는 확실한 전략

《자기결정성, 나로서 살아가는 힘》은 김은주 교수가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며 발견한 다양한 ‘자기결정적 삶’의 사례가 탄탄한 이론적 근거와 함께 제시되어 있다. ‘모든 걸 자기가 결정하면서 살면 당연히 행복하겠지. 하지만 그게 가능하겠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이런 사례와 이론을 따르다 보면 어느새 이 책이 지향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