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동북아 안정의 토대: 발전 전략과 안보 협력
제1장 중·러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 평화 체제
제2장 중·일 관계와 한반도 평화
제3장 시진핑 시기 중국의 신(新북핵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제4장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개념적 이해와 동북아 경제협력
제5장 러시아의 신동방 정책과 동북아 경제협력
제2부|동북아 공영의 토대: 네트워킹과 경제협력
제6장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러시아, 중국 무역 및 투자
제7장 러시아 가스의 대중국 수출 전략과 현황
제8장 21세기 동북아 에너지 협력과 한국의 선택
제9장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국제해상 물류네트워크
경제적 요인으로 풀어가는 공동번영의 길
9명의 전문가가 분석하는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평화의 모든 것
한반도의 평화는 남북한의 의기투합만으로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반도의 평화 문제는 미국, 러시아, 일본 등 100년 넘게 한반도에서 각축을 벌이는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난마처럼 얽혀 있어 풀기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주변국들이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조하도록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서로가 경제적으로 공동번영을 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 9명은 동북아시아 관련 전문가로서 한반도의 평화 문제를 경제적 요인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모색한다.
여기에서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는 남북한, 동북아, 동아시아 주변국들이 경제적 공동번영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실천하지 않는 한, 지속 가능한 형태로 정착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동아시아 각국이 경제적 윈윈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정치적·군사적 적대 관계 해소에 주력하지 않는 한,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의 문제를 풀기 어렵다. 즉 양자 관계에서 다자 관계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공영이 담보될 때만이 해묵은 정치적·군사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_5쪽에서
1장에서는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의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분석하고 한반도의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의 긍정적인 점을 강화하는 우리의 외교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2장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관계를 정치, 경제, 역사 등 다가도로 분석하고 중·일 관계의 우호적인 발전이 한반도의 평화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시진핑 정부의 신북핵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사드 배치 이후 생겨난 한·중 간의 갈등을 어떻게 봉합해 북한에 대한 핵 제재 공조에서 중국이 이탈하지 않게 할 방법을 모색한다.
4장에서는 일대일로가 북한과 한국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