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피로 새겨진 이름, 윤혈녀_ 정명섭
1919년 3월 10일 #전라도 광주
열다섯, 홍련_ 신여랑
1919년 3월 21일 #제주도 조천
봄바람 스치는 남바위를 쓰고_ 이상권
1919년 3월 29일 #경기도 용인
통영의 꽃, 국희_ 박경희
1919년 4월 2일 #경상도 통영
끝나지 않는 아침_ 윤혜숙
1919년 4월 3일 #강원도 홍천
부록 | 쉽고 바르게 읽는 3·1독립선언서
전라도 광주, 제주도 조천, 경기도 용인, 경상도 통영, 강원도 홍천
학생, 해녀, 농민, 기생, 노동자
다양한 신분으로 곳곳에서 만세를 외친 사람들
소설로 되살아난 100년 전 그들의 이야기
피로 새겨진 이름, 윤혈녀_ 1919년 3월 10일 #전라도 광주
정명섭 작가는 전라도 광주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을 다루었다. 당시 광주에서는 수피아여학교와 숭일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만세운동을 주도했고, 3월 초부터 4월 말까지 이어졌다. 이 소설에서는 실존 인물인 수피아여학교 학생 윤형숙과 최수향, 그리고 교사인 박애순과 진신애를 중심으로 만세운동 이야기를 풀어냈다. 특히 소설의 주인공인 윤형숙이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헌병이 휘두른 칼에 한쪽 팔을 잃고, ‘혈녀’라는 별명을 얻게 된 이야기는 당시 일본의 탄압이 얼마나 잔인했는지 잘 보여 준다.
열다섯, 홍련_ 1919년 3월 21일 #제주도 조천
제주도 조천 지역에서 3월 21일부터 나흘간 벌어진 조천 만세운동을 소설로 쓴 신여랑 작가는 당시 운동을 주도했던 김시범과 그의 조카 김장환이라는 실존 인물에 주인공인 해녀 홍련과 주변 인물 이야기를 잘 엮어 냈다. 그중에서도 홍련과 할머니,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제주 사투리와 해녀들의 모습을 잘 표현해 내, 당시 제주 지역 해녀들의 삶과 전통뿐만 아니라 그런 그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모습과 감정도 생생하게 전해 준다.
봄바람 스치는 남바위를 쓰고_ 1919년 3월 29일 #경기도 용인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는 농민들이 만세운동을 이끌었다. 그중에서도 작품의 배경이 된 광교산 자락 고기리(현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서는 주민들이 이불 홑청을 뜯어 직접 태극기를 만들고 통문을 돌려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특히 이상권 작가가 주인공으로 내세운 소년 기철을 비롯한 마을 주민 대부분은 대대로 농사를 지어 온 사람들이고, 주요 소재로 활용한 남바위는 그런 마을의 전통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만세운동에 참여한 농민들이 느꼈을 마음을 엿볼 수